유사 배열(Array-Like Object)이란?
배열과 유사(類似)한 객체
배열과 모양은 같지만, 완벽히 배열은 아닌
유사 배열에도 최소한 갖춰야 할 조건과 특징
1. 숫자 형태의 indexing이 가능하다.
2. length 프로퍼티가 있다.
3. 배열의 기본 메소드를 사용할 수 없다.
4. Array.isArray(유사배열)은 false다.
주의사항: 유사 배열은 다양하다!
유사 배열은 위의 특징들을 가진 대부분의 형태를 가리키는 포괄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정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직접 유사 배열을 만드는 게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유사 배열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위 4가지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으니깐 잘 기억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이벤트와 이벤트 핸들링, 그리고 이벤트 핸들러
- 이벤트 : 웹 페이지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일(사건)들 ex) 버튼 클릭, 스크롤, 키보드 입력, ...
- 이벤트 핸들링 :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이벤트를 다루는 일
- 이벤트 핸들러 :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일어나야하는 구체적인 동작들을 표현한 코드. 이벤트 리스너(Event Listener)라고도 부른다.
마무리
지금까지 console 객체의 log 메소드와 dir 메소드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콘솔에서 값 자체를 확인하고 싶다면 log메소드를, 객체의 속성들을 살펴보고 싶다면 dir 메소드를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window 객체
window 객체는 브라우저 창을 대변하면서 자바스크립트에서 최상단에 존재하는 객체입니다. 자바스크립트 코드 어느 곳에서나 항상 접근할 수 있는 객체이기 때문에 전역 객체, 영어로는 Global Object라고 부릅니다. 어떤 프로퍼티나 메소드를 사용하든 결국 전역 객체 내부의 것이기 때문에 앞에 window.을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2. DOM
DOM이란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문서 객체 모델입니다. 간단하게 표현하면 웹 페이지에 나타나는 HTML 문서 전체를 객체로 표현한 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이때 각 객체를 노드(Node)라는 용어로 표현하고, 태그는 요소 노드, 문자는 텍스트 노드로 구분됩니다.
3. DOM 트리
HTML의 계층 구조는 DOM에서도 반영되는데 이러한 계층구조를 나무에 비유해서 DOM 트리라고 부릅니다. 각 노드 간의 관계는 부모, 자식, 형제라는 용어로 표현합니다.
4. DOM 이동 시 활용 가능한 프로퍼티
5. 주요 요소 노드 프로퍼티
6. 요소 노드 다루기
- 요소 노드 만들기: document.createElement('태그이름')
- 요소 노드 꾸미기: element.textContent, element.innerHTML, ...
- 요소 노드 추가 혹은 이동하기: element.prepend, element.append, element.after, element.before
- 요소 노드 삭제하기: element.remove()
7. HTML 속성 다루기
대부분의 HTML 속성은 DOM 객체의 프로퍼티로 변환이 됩니다. 하지만, 표준 속성이 아닌 경우에는 프로퍼티로 변환이 안 되는데요. 아래 메소드를 활용하면 표준이 아닌 HTML 속성들도 다룰 수 있습니다.
- 속성에 접근하기: element.getAttribute('속성')
- 속성 추가(수정)하기: element.setAttribute('속성', '값')
- 속성 제거하기: element.removeAttribute('속성')
8. 스타일 다루기
자바스크립트로 태그의 스타일을 다루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 style 프로퍼티 활용하기: element.style.styleName = 'value';
- class 변경을 통해 간접적으로 스타일 적용하기: element.className, element.classList
8-1. classList의 유용한 메소드
4. 이벤트 버블링 (Event Bubbling)
이벤트는 전파가 됩니다. 어떤 요소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요소에 등록된 이벤트 핸들러가 동작하는 것뿐만 아니라 부모 요소로 이벤트가 계속해서 전파되면서 각 요소에도 등록된 이벤트 핸들러가 있다면 차례로 이벤트 핸들러가 동작하는데요.
자식 요소에서 부모 요소로 이벤트가 전파되는 것을 이벤트 버블링(Event Bubbling)이라고 부릅니다.
참고로 이벤트 버블링은 이벤트 객체의 stopPropagation 메소드로 전파를 막을 수 있습니다.
5. 이벤트 위임 (Event Delegation)
버블링 개념을 활용하면 훨씬 효과적인 이벤트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식 요소 각각에 이벤트 핸들러를 하나씩 등록할 필요 없이 부모 요소에서 한 번에 자식 요소들에 발생한 이벤트를 관리할 수도 있는데요.
이렇게 이벤트를 다루는 방식을 자식 요소의 이벤트를 부모 요소에 위임한다고 해서 이벤트 위임(Event Delegation)이라고 부릅니다.
이벤트 위임을 잘 활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이벤트를 다룰 수 있습니다.
6. 브라우저의 기본 동작
브라우저에는 각 태그별 혹은 상황별로 기본적으로 약속된 동작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상황에 맞는 메뉴 창이 뜬다거나, input 태그에 커서를 두고 키보드 키를 누르면 해당 값이 입력된다거나..
그런데 만약 이러한 동작들을 막고 싶다면 이벤트 객체의 preventDefault 메소드를 통해 막을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각 HTML 태그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역할과 의미를 훼손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만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mouseenter는 mouseover처럼 마우스 포인터가 요소 바깥에서 안쪽으로 들어갈 때, mouseleave는 mouseout처럼 마우스 포인터가 요소 안쪽에서 바깥으로 나갈 때 발생하는데요.
그럼 mouseover, mouseout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1. 버블링이 일어나지 않는다.
mouseenter와 mouseleave는 버블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2. 자식 요소의 영역을 계산하지 않는다.
mouseenter와 mouseleave는 자식 요소의 영역을 계산하지 않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벤트가 자식 요소에 영향끼치는지가 둘의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벤트 핸들러가 자식 요소에까지 영향을 끼치게 하고싶은 경우에는 mouseover/mouseout을, 자식 요소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고 해당 요소에만 이벤트 핸들러를 다루고자 한다면 mouseenter/mouseleave를 활용하면 좋겠죠?
====
JavaScript vs ECMAScript
간혹 JavaScript와 ECMAScript가 똑같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둘 사이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첫 번째 차이점은, JavaScript는 프로그래밍 언어이고, ECMAScript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표준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ECMAScript는 JavaScript가 갖추어야 할 내용을 정리해둔 '설명서'이고, JavaScript는 ECMAScript를 준수해서 만들어낸 '결과물' 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참고로 ECMAScript가 JavaScript화 하기 위해 등장하긴 했지만, ECMAScript는 JavaScript 뿐만아니라 모든 스크립트 언어(scripting languages)가 지켜야 하는 표준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언어를 직접 만들고자 한다면, 이 ECMAScript를 준수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리고 두 번째 차이점은 JavaScript는 ECMAScript를 기반으로 하지만 ECMAScript에 정의된 내용뿐만 아니라, 다른 부가적인 기능도 있다는 겁니다. 특히, 우리가 자바스크립트로 HTML 코드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DOM(Document Object Model)을 다루는 문법들은 ECMAScript에 표준화된 문법이 아니라 WebIDL에서 표준화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와 ECMAScript의 차이. 이제는 잘 구분할 수 있겠죠?
ECMAScript의 첫 버전은 1997년에 등장
여섯 번째(ES6)부터는 매년 새로운 버전들이 출시되면서 ECMAScript의 버전을 부를 때 연호를 붙여 ES2015(ES6), ES2016(ES7)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ES2015는 ECMAScript 버전 중에서도 자바스크립트의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버전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ES2015 이후에 매년 출시된 버전들을 통칭하기 위해서 ES2015+ 혹은 ES6+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 타입
자바스크립트에는 8가지 데이터 타입이 있습니다.
- number
- string
- boolean
- undefined
- null
- object
- symbol
- bigint
자바스크립트의 유연한 데이터 타입
자바스크립트는 데이터 타입이 유연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맥락에 유연하게 변하는 데이터 타입의 특징은 처음엔 생소하고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잘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좀 더 간결한 코드를 작성하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Truthy 값과 Falsy 값
if, for, while 등 불린 타입의 값이 요구되는 맥락에서는 조건식이나 불린 타입의 값 뿐만아니라 다른 타입의 값도 불린 값처럼 평가될 수 있는데요. 이 때, false 처럼 평가되는 값을 falsy 값, true 처럼 평가되는 값을 truthy값이라고 부릅니다. falsy값에는 false, null, undefined, 0, NaN, ''(빈 문자열)이 있고, falsy값을 제외한 값들은 모두 truthy값이 됩니다.
독특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논리 연산자
자바스크립트에서 AND와 OR연산자는 무조건 불린 값을 리턴하는게 아니라, 왼쪽 피연산자 값의 유형에 따라서 두 피연산자 중 하나를 리턴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다양한 변수 선언 방식
자바스크립트에는 다양한 변수 선언 키워드가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가 처음 등장할 때부터 사용되던 var와, 그리고 var의 부족함을 채우기위해 ES2015에서 새롭게 등장한 let과 const가 있는데요.
var 변수는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었습니다.
- 변수 이름 중복선언 가능,
- 변수 선언 전에 사용 가능(호이스팅),
- 함수 스코프
특히나 중복된 이름으로 선언이 가능했던 특징은 여러 사람이 협업할 때 생각보다 자주 문제가 되곤 했었는데요.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ES2015에서 let과 const가 등장했고,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변수 이름 중복선언 불가 (SyntaxError 발생)
- 변수 선언 전에 사용 불가 (ReferenceError 발생)
- 블록 스코프
덧붙여 const 키워드는 let 키워드와 다르게 값을 재할당할 수 없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그래서 ES2015 이후부터는 var보다 let과 const 키워드 사용이 권장된다는 사실도 참고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함수 스코프(function scope)와 블록 스코프(block scope)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함수 스코프 let과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블록 스코프를 가집니다.
함수 스코프란 말 그대로 함수를 기준으로 스코프를 구분한다는 뜻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아래 코드처럼 함수 안에서 선언한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유효하게 됩니다.
하지만 함수를 제외한 for, if, while 등과 같은 문법 안에서 선언한 변수는 그 문법 밖에서도 계속 유효했었기 때문에 때로는 중복선언등의 문제가 생겨나기도 했는데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et과 const 키워드와 함께 블록 스코프가 등장하게 된 겁니다.
즉시 실행 함수의 활용
즉시 실행 함수는 말 그대로 선언과 동시에 실행이 이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초기화 기능에 많이 활용됩니다.
혹은 재사용이 필요 없는, 일회성 동작을 구성할 때 활용하기도 하는데요.
함수의 리턴값을 바로 변수에 할당하고 싶을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외부로 부터 값을 전달받기 위해 힘수를 선언할 때 작성하는 것은 파라미터(Parameter), 함수를 호출할 때 파라미터로 전달하는 값은 아규먼트(Argument)
Rest Parameter
arguments 객체를 이용하는 것 말고도 불규칙적으로 전달되는 아규먼트를 다루는 방법이 있는데요. 파라미터 앞에 마침표 세 개를 붙여주면, 여러 개로 전달되는 아규먼트들을 배열로 다룰 수가 있게 됩니다. 그리고 arguments객체는 유사 배열이기 때문에 배열의 메소드를 활용할 수 없는 반면, rest parameter는 배열이기 때문에 배열의 메소드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rest parameter는 다른 일반 파라미터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데요.
=====
문장과 표현식에 대한 개념인데요. 영어로는 각각 statements와 expressions라고 부릅니다.
문장 (statements)
우리가 작성하는 모든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모두 문장과 표현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장은 어떤 동작이 일어나도록 작성된 최소한의 코드 덩어리를 가리킵니다.
선언문, 할당문, 조건문, 반복문 .. 이렇게 끝에 문이라고 붙은 이유가 모두 동작을 수행하는 문장이기 때문입니다.
표현식 (expressions)
표현식은 결과적으로 하나의 값이 되는 모든 코드를 가리킵니다.
어떤 하나의 값을 그대로 작성하는 것도 표현식이지만, 연산자를 이용한 연산식도 결국은 하나의 값, 선언된 변수를 호출하거나,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것도 결국에는 하나의 값으로 평가되는데요. 그래서 길이와는 상관없이 결과적으로 하나의 값이 되는 코드를 모두 표현식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표현식이면서 문장, 문장이면서 표현식
표현식은 보통 문장의 일부로 쓰이지만, 그 자체로 문장일 수도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할당식과 함수 호출인데요.
====
Spread 구문은 특히 배열을 다룰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는데요. 그래서 사실 ES2015에서 Spread 구문이 처음 등장했을 땐 배열에서만 사용이 가능했고, 일반 객체에는 사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ES2018에서 일반 객체에도 Spread 구문을 사용할 수있는 표준이 등장하게 되었는데요
주의 사항
배열을 Spread 하면 새로운 배열을 만들거나 함수의 아규먼트로 쓸 수 있었지만, 객체로는 새로운 배열을 만들거나 함수의 아규먼트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
안전하게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방법
옵셔널 체이닝 (Optional Chaining)
바로 ECMAScript2020에서 등장한 옵셔널 체이닝이라는 접근 방법
중첩된 객체를 다룰 때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활용할 수 있지만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를 활용하면 훨씬 더 간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는 점! 잘 기억해 두세요!
====
Destructuring 문법을 활용하면 배열의 각 요소를 여러 변수에 개별적으로 할당할 수 있습니다. Destructuring 문법은 rest 문법을 활용할 수도 있고, 변수들끼리 서로 값을 바꿀 때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요.
Destructuring 문법은 rest 문법을 활용할 수도 있고, 다른 이름의 변수로 할당할 수도 있고, 기본값을 지정해 줄 수도 있는데요.
====
에러와 에러 객체
자바스크립트에서 에러를 다루는 일은 굉장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자바스크립트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그 순간 프로그램 자체가 멈춰버리고 이후의 코드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에 대한 정보를 name과 message라는 프로퍼티로 담고 있는 에러 객체가 만들어지는데요. 대표적인 에러 객체는 SyntaxError, ReferenceError, TypeError 입니다.
에러 객체는 직접 만들 수도 있는데요. new 키워드와 에러 객체 이름을 딴 함수를 통해 에러 객체를 만들 수 있고, throw 키워드로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그 순간 프로그램 자체가 멈춰버리고 그 이후의 코드는 더 이상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에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에러의 내용이 담긴 에러 객체가 만들어지는데요.
자바스크립트에서 에러를 다루는 방법 중 하나는 try...catch 문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try...catch 문을 활용하면 에러가 발생해도 프로그램을 멈추지 않고, 에러가 발생했을 때 동작할 코드를 다룰 수 있게 됩니다.
try 문에서 동작할 코드를 작성하고, 에러가 발생했을 때 동작할 코드를 catch 문 안에 작성하면 되는데요. 이때 try 문에서 에러가 발생해서 에러 객체가 만들어지면, 그 에러 객체를 catch 문 안에서 다룰 수가 있습니다
에러 객체는 기본적으로 에러 이름을 담고 있는 name 프로퍼티와 에러 내용을 담고 있는 message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강제로 에러를 발생시키는 키워드는 throw 입니다. 일반적으로 throw 키워드 다음에 에러 객체를 만들어서 에러를 발생시키는데요.
try...catch는 사실 finally라는 코드 블록을 하나 더 가질 수 있습니다!
finally문은 try...catch문이 끝난 다음에 최종적으로 실행될 코드를 다룰 때 활용하는데요.
finally문
try문에서 어떤 코드를 실행할 때 에러 여부와 상관 없이 항상 실행할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죠!
만약 finally문에서도 에러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 처럼 try...catch문을 중첩해서 활용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
forEach 메소드는 배열의 요소를 하나씩 살펴보면서 반복하는 메소드 입니다. forEach 메소드는 첫 번째 파라미터로 콜백 함수를 전달받는데요. 콜백 함수의 첫 번째 파라미터에 배열의 각 요소가 전달되고, 두 번째 파라미터에는 index가 전달 됩니다.
map 메소드는 forEach와 비슷하게 아규먼트로 전달한 콜백 함수를 배열의 길이 만큼 반복해서 실행하는 메소드입니다. forEach 메소드와 다른 점은 콜백 함수가 리턴하는 값을 가지고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 리턴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콜백 함수의 첫 번째 파라미터에는 배열의 요소가, 두 번째 파라미터에는 index가 전달된다는 점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어요.
filter 메소드도 forEach와 map 메소드와 비슷하게 배열의 요소 길이 만큼 반복하면서 콜백 함수를 실행하는데요. filter 메소드는 콜백 함수가 리턴하는 조건을 충족하는 요소만 모아서 새로운 배열을 리턴하는 메소드입니다.
find 메소드는 배열에서 콜백 함수가 리턴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가장 첫 번째 요소를 리턴해주는 메소드입니다. 그래서 find 메소드에 전달하는 콜백 함수의 리턴 조건만 잘 정리해주면 됩니다.
some 메소드는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가 1개 이상 있는지 확인하는 메소드이고, 반대로 every 메소드는 모든 요소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메소드입니다. 그런데 동작방식을 좀 더 살펴보면, every 메소드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요소가 1개 이상 있는지 확인하는 메소드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걀과적으로 이 두 메소드는 콜백 함수가 리턴하는 조건에 따라 true 혹은 false를 리턴합니다.
reduce 메소드를 활용하면 누적값을 좀 더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reduce 메소드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파라미터를 활용하는데요. 첫 번째 파라미터에 반복 동작할 콜백 함수를 전달하고, 두 번째는 초깃값을 전달하게 됩니다.
배열에서 sort라는 메소드를 활용하면 배열을 정렬할 수 있습니다. sort 메소드에 아무런 아규먼트도 전달하지 않을 때는 기본적으로 유니코드에 정의된 문자열 순서에 따라 정렬됩니다.
sort 메소드를 사용할 때 한 가지 주의해야될 부분은 메소드를 실행하는 원본 배열의 요소들을 정렬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한 번 정렬하고 나면 정렬하기 전의 순서로 다시 되돌릴 수 없으니, 그런 경우에는 미리 다른 변수에 복사해두는 것이 좋겠죠!?sort 메소드를 사용할 때 한 가지 주의해야될 부분은 메소드를 실행하는 원본 배열의 요소들을 정렬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한 번 정렬하고 나면 정렬하기 전의 순서로 다시 되돌릴 수 없으니, 그런 경우에는 미리 다른 변수에 복사해두는 것이 좋겠죠!?
reverse 메소드는 말 그대로 배열의 순서를 뒤집어 주는 메소드 입니다. reverse 메소드는 별도의 파라미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메소드를 호출해주기만 하면 배열의 순서가 뒤집히는데요. sort 메소드와 마찬가지로 원본 배열의 요소들을 뒤집어 버린다는 점은 꼭 주의헤야 합니다.
====
Map과 Set
객체는 property name을 통해 이름이 있는 여러 값들을 묶을 때 활용할 수 있고, 배열은 index를 통해 순서가 있는 여러 값들을 묶을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ES2015에서 객체와 비슷한 Map과 배열과 비슷한 Set이라는 데이터 구조가 새롭게 등장했는데요. 각각 어떤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지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합시다.
Map
Map은 이름이 있는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점에서 객체와 비슷합니다. 하지만, 할당연산자를 통해 값을 추가하고 점 표기법이나 대괄호 표기법으로 접근하는 일반 객체와 다르게 Map은 메소드를 통해서 값을 추가하거나 접근할 수 있는데요.
new 키워드를 통해서 Map을 만들 수 있고 아래와 같은 메소드를 통해 Map 안의 여러 값들을 다룰 수 있습니다.
- map.set(key, value): key를 이용해 value를 추가하는 메소드.
- map.get(key): key에 해당하는 값을 얻는 메소드. key가 존재하지 않으면 undefined를 반환.
- map.has(key): key가 존재하면 true, 존재하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하는 메소드.
- map.delete(key): key에 해당하는 값을 삭제하는 메소드.
- map.clear(): Map 안의 모든 요소를 제거하는 메소드.
- map.size: 요소의 개수를 반환하는 프로퍼티. (메소드가 아닌 점 주의! 배열의 length 프로퍼티와 같은 역할)
문자열과 심볼 값만 key(프로퍼티 네임)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 객체와는 다르게 Map 객체는 메소드를 통해 값을 다루기 때문에, 다양한 자료형을 key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Set
Set은 여러 개의 값을 순서대로 저장한다는 점에서 배열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배열의 메소드는 활용할 수 없고 Map과 비슷하게 Set만의 메소드를 통해서 값을 다루는 특징이 있는데요.
Map과 마찬가지로 new 키워드로 Set을 만들 수 있고 아래와 같은 메소드를 통해 Set 안의 여러 값들을 다룰 수 있습니다.
- set.add(value): 값을 추가하는 메소드. (메소드를 호출한 자리에는 추가된 값을 가진 Set 자신을 반환.)
- set.has(value): Set 안에 값이 존재하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하는 메소드.
- set.delete(value): 값을 제거하는 메소드. (메소드를 호출한 자리에는 셋 내에 값이 있어서 제거에 성공하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
- set.clear(): Set 안의 모든 요소를 제거하는 메소드.
- set.size: 요소의 개수를 반환하는 프로퍼티. (메소드가 아닌 점 주의! 배열의 length 프로퍼티와 같은 역할)
한가지 특이한 점은 일반 객체는 프로퍼티 네임으로, Map은 get메소드로, 그리고 배열은 index를 통해서 개별 값에 접근할 수 있었는데요. 한 가지 특이한 점은 Set에는 개별 값에 바로 접근하는 방법이 없다는 점입니다.
====
모듈 파일이 가져야 하는 독립적인 스코프를 모듈 스코프
HTML파일에서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불러올 때 모듈 스코프를 갖게 하려면 script태그에 type속성을 module이라는 값으로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듈 문법은 기본적으로 export와 import입니다. 모듈 스코프를 가진 파일에서 외부로 내보내고자 하는 변수나 함수를 export 키워드를 통해 내보내고, 모듈 파일에서 내보낸 변수나 함수들은 다른 파일에서 import 키워드를 통해 가져옵니다.
모듈 문법을 활용할 때 import할 변수나 함수 이름을 조금 더 간결한 이름으로 바꾸거나, 혹은 더 구체적으로 바꾸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 import 키워드를 통해 모듈을 불러올 때 as 키워드를 활용하면 import하는 대상들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는데요.
한꺼번에 import 하기
import할 때 와일드카드 문자(*)와 as를 활용하면 모듈 파일에서 export하는 모든 대상을 하나의 객체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한꺼번에 export 하기
변수나 함수 앞에 매번 export 키워드를 붙일 수도 있지만, 선언된 변수나 함수를 하나의 객체로 모아 한꺼번에 내보낼 수도 있습니다. 이때 as 키워드를 활용하면 이름을 변경해서 export할 수도 있습니다.
export를 할 때 default 키워드를 함께 사용하면 모듈 파일에서 기본적으로 export할 대상을 정할 수 있습니다. 이 default 키워드를 함께 활용하면, 축약형 문법으로 import를 할 수 있어서, 일반적으로 모듈 파일에서 export 대상이 하나라면, default export를 하는 것이 조금 더 간결한 코드를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특정 URL로 리퀘스트를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는 fetch
웹은 World Wide Web의 줄임말로, '전세계적인 연결망'이라는 뜻
1. 개발자 도구란?
웹 브라우저에 내장된 개발자 도구는, 웹 브라우저가 내부적으로 어떤 동작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사실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필요 없는 도구이지만, 웹 페이지를 만드는 개발자 즉,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이 개발자 도구는 정말 중요한 도구입니다. 왜냐하면 이 개발자 도구를 사용해서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브라우저가 어떻게 해석하고 실행하는지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은 분이라면, 이 개발자 도구의 기초적인 사용법을 익혀두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이번 토픽은 개발자 도구 사용법에 관한 토픽은 아니기 때문에 사용법을 별도로 배우지는 않습니다. 혹시 크롬의 개발자 도구를 별도로 공부해보고 싶은 분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공식 설명을 참조하세요.
====
URL은 크게
- 호스트(host),
- 패스(path),
- 쿼리(query)
로 이루어져있다는 걸 배웠는데요.
URL의 path, query에 관한 설계와 의미는 서버마다 다릅니다. 이는 결국 해당 서비스의 개발자들이 정하는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입니다. '규격화된 리소스 검색자' 정도로 해석하면 되는데요. 이렇게 웹에서 우리가 찾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문 용어로는 '리소스(Resource)'라고 표현합니다.
URL의 의미와 구조에 대해 배울 때, 여러분은 이런 의문을 가졌을 수도 있습니다.
'내가 URL을 직접 입력한 적은 거의 없는데?'
하는 의문 말이죠.
굉장히 의미 있는 생각입니다. 여러분이 웹 서핑을 할 때를 생각해봅시다. 여러분은 보통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www.naver.com나 www.google.com 처럼, URL에서의 호스트(host) 부분까지만 입력하고, 어떤 서비스의 메인 페이지로 진입할 겁니다. 그리고 그 뒤로는 마우스로 화면에 있는 이미지나 버튼 등을 클릭할 뿐, 더이상 URL을 직접 입력할 일이 많지는 않은데요. 그 이유는 바로, 이미 여러분이 화면에서 클릭하는 버튼 등에 어느 URL로 새로운 리퀘스트를 보낼지, HTML 코드 또는 Javascript 코드로 다 작성이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
JSON
JSON 포맷에 관한 내용은 이 링크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오늘날 웹 개발에서 주로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입니다.
1. JSON에는 프로퍼티의 이름과 값을 표현하는 방식에 제한이 있습니다.
(1) JSON에서는 각 프로퍼티의 이름을 반드시 큰따옴표(")로 감싸줘야 합니다.
(2) JSON에서는 값이 문자열인 경우 큰따옴표(")를 사용해야 합니다.
2. JSON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값들이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프로퍼티의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undefined, NaN, Infinity 등을 JSON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참고로, JSON은 비록 자바스크립트로부터 비롯된 데이터 포맷이지만, 그 탄생 목적은 언어나 환경에 종속되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의 문법에서만 유효한 개념을 JSON에서는 나타낼 수 없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입니다.
3. JSON에는 주석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JSON은 코드가 아니라 데이터 포맷이기 때문에 그 안에 주석을 포함시킬 수 없습니다.
자바스크립트 문법과 JSON 문법 간의 차이가 더 궁금한 분들은 이 링크
JSON 데이터가 이 코드에서 result 파라미터로 넘어올 때는 그 데이터 타입이 string이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변환을 해줘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내장 객체인 JSON이라는 객체의 parse 메소드의 파라미터로 해당 JSON 데이터를 넣고 실행하면 돼요.
우리는 이제 웹 브라우저가 리퀘스트를 보낼 때
(1) 어느 URL로 리퀘스트를 보내는지 (2) 무슨 메소드(GET, POST, PUT, DELETE 등)가 그 헤드에 설정되어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어떤 리퀘스트를 보냈을 때, 무슨 리스폰스를 받는지는 어떻게 설계되는 걸까요? 개발자들이 실제로 개발을 할 때 이 부분을 어떻게 만들고 있는지 이번 노트에서 배워보겠습니다.
1. Web API
우리가 어떤 리퀘스트를 보냈을 때, 무슨 리스폰스를 받는지는 모두 그 서비스를 만드는 개발자들이 정하는 부분입니다. 잠깐 실제 개발 현장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해볼게요. 개발자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 화면을 보는 웹 페이지나 앱 등을 만드는 프론트엔드(Front-end) 개발자, 두 번째는 웹 브라우저나 앱이 보내는 리퀘스트를 받아서 적절한 처리를 한 후 리스폰스를 주는 서버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백엔드(Back-end) 개발자, 이 두 가지인데요.
하나의 서비스를 만들 때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들과 백엔드 개발자들이 모여 '프론트엔드에서 이 URL로 이렇게 생긴 리퀘스트를 보내면, 백엔드에서 이런 처리를 하고 이런 리스폰스를 보내주는 것으로 정합시다'와 같은 논의를 하고, 이런 내용들을 정리한 후에 개발을 시작합니다.
이것을 'Web API 설계'라고 하는데요.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원래는 '개발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특정 라이브러리나 플랫폼 등이 제공하는 데이터나 함수 등'을 의미합니다. 웹 개발에서는 어느 URL로 어떤 리퀘스트를 보냈을 때, 무슨 처리가 수행되고 어떤 리스폰스가 오는지에 관해 미리 정해진 규격을 Web API라고도 하는데요.
Web API를 설계한다는 것은 서비스에서 사용될 모든 URL들을 나열하고, 각각의 URL에 관한 예상 리퀘스트와 리스폰스의 내용을 정리한다는 뜻입니다.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URL에, 어떤 리퀘스트를 보내면, 서버는 어떤 리스폰스를 보내야 하는지를 일일이 설계하는 것이 Web API 설계인 겁니다.
Web API가 설계되고 나면, 그때 프론트엔드/백엔드 개발자들이 해당 설계에 맞게 각자 코드를 작성하기 시작하는 겁니다. 물론 설계와 개발이 동시에 진행되기도 하고, 설계 내용이 중간에 수정되기도 합니다.
오늘날 많은 회사 내의 개발팀은 이런 식으로 Web API를 설계하고 웹 서비스를 만듭니다. 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그건 바로 Web API는 어떻게 설계해도 동작하는 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는 문제입니다.
하지만 기능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해도 Web API를 아무렇게나 설계해도 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Web API가 잘 설계되었는지에 관한 기준으로는 보통 REST API라는 기준이 사용되고 있는데요. 많은 개발자들이 Web API를 개발할 때 이 REST API를 준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 REST API 이야기
REST API는 오늘날 많은 웹 개발자들이 Web API 설계를 할 때, 준수하기 위해 노력하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입니다. REST API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단 REST architecture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하는데요. 일단 REST architecture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REST architecture란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인 Roy Fielding이 본인의 박사 논문 'Architectural Styles and the Design of Network-based Software Architectures'에서 제시한 개념인데요. 그는 웹이 갖추어야 할 이상적인 아키텍처(구조)로 REST architecture라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여기서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표현적인 상태 이전)의 줄임말로, 해석하면 '표현적인, 상태 이전'이라는 뜻입니다. 이게 무슨 말일까요? 이 용어는 Roy Fielding이 고안한 용어인데요. 지금 여러분이 웹 서핑을 할 때를 생각해보세요. 만약 웹을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면, 각각의 웹 페이지는 그 프로그램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웹 페이지들을 계속 옮겨 다니면서 보게 되는 내용은, 웹이라는 프로그램의 매번 새로운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이것을 '표현적인, 상태 이전'이라고 하는 겁니다.
그럼 REST architecture가 되기 위한 조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다음과 같은 6가지 기준을 충족하면 REST architecture로 인정됩니다.
- Client-Server
- Stateless
- Cache
- Uniform Interface
- Layered System
- Code on Demand
각 기준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보자면 REST architecture는,
- (Client-Server) Client-Server 구조를 통해 양측의 관심사를 분리해야 합니다. 현재 토픽에서는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가 Client,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가 Server에 해당하는데요. 이렇게 분리를 해놓으면 Client 측은 사용자에게 어떻게 하면 더 좋은 화면을 보여줄지, 다양한 기기에 어떻게 적절하게 대처해야할지 등의 문제에 집중할 수 있고, Server 측은 서비스에 적합한 구조, 확장 가능한 구조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등의 문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각자가 서로를 신경쓰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겁니다.
- (Stateless) Client가 보낸 각 리퀘스트에 관해서 Server는 그 어떤 맥락(context)도 저장하지 않습니다. 즉, 매 리퀘스트는 각각 독립적인 것으로 취급된다는 뜻입니다. 이 때문에 리퀘스트에는 항상 필요한 모든 정보가 담겨야합니다.
- (Cache) Cache를 활용해서 네트워크 비용을 절감해야 합니다. Server는 리스폰스에, Client가 리스폰스를 재활용해도 되는지 여부(Cacheable)를 담아서 보내야합니다.
- (Uniform Interface) Client가 Server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하위 조건 4가지를 준수해야 합니다. 이 조건이 REST API와 연관이 깊은 조건입니다. 어떤 4가지 하위 조건들이 있는지 살펴봅시다.
(4-1) identification of resources : 리소스(resource)는 웹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용어인데요. 저도 이번 노트에서는 리소스라는 용어를 사용하겠습니다. 이것은 리소스(resource)를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입니다. URI는 URL의 상위 개념으로 일단 지금은 URL이라고 생각하셔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
(4-2) manipulation of resources through representations : Client와 Server는 둘 다 리소스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게 아니라 리소스의 '표현(representations)'을 다뤄야 합니다. 예를 들어, Server에 '오늘 날씨'(/today/weather)라는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 어떤 Client는 HTML 파일을 받을 수도 있고, 어떤 Client는 이미지 파일인 PNG 파일을 받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데요. 이때 HTML 파일과 PNG 파일 같은 것들이 바로 리소스의 '표현'입니다. 즉, 동일한 리소스라도 여러 개의 표현이 있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사실, 리소스는 웹에 존재하는 특정 데이터를 나타내는 추상적인 개념입니다. 실제로 우리가 다루게 되는 것은 리소스의 표현들뿐인데요. 이렇게 '리소스'와 '리소스의 표현'이라는 개념 2개를 서로 엄격하게 구분하는 것이 REST architecture의 특징입니다.
(4-3) self-descriptive messages : self-descriptive는 '자기설명적인'이라는 뜻인데요. 위에서 살펴본 2. Stateless 조건 때문에 Client는 매 리퀘스트마다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아서 전송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때 Client의 리퀘스트와 Server의 리스폰스 모두 그 자체에 있는 정보만으로 모든 것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4-4) 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 : REST architecture는 웹이 갖추어야 할 이상적인 아키텍처라고 했죠? 이때 '웹'을 좀더 어려운 말로 풀어써 보자면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Distributed Hypermedia System)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하이퍼미디어(Hypermedia)는 하이퍼텍스트(Hypertext)처럼 서로 연결된 '문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이미지, 소리, 영상 등까지도 모두 포괄하는 더 넓은 개념의 단어입니다. 즉, 웹은 수많은 컴퓨터에 하이퍼미디어들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 해당합니다. 이 조건은 웹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간주했을 때, Server의 리스폰스에는 현재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이전할 수 있는 링크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는 조건입니다. 즉, 리스폰스에는 리소스의 표현, 각종 메타 정보들뿐만 아니라 계속 새로운 상태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링크들도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는 거죠.
자, 여기까지가 Uniform Interface의 4가지 하위 조건입니다. 사실, 오늘날 우리가 Web API를 설계할 때 위의 하위 조건들을 모두 제대로 이해하고 준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데요. 일단 아직 남은 5, 6번 조건들을 마저 살펴보고, 4번에 관해 그나마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규칙들을 아래에서 살펴봅시다.
- (Layered System) Client와 Server 사이에는 프록시(proxy), 게이트웨이(gateway)와 같은 중간 매개 요소를 두고, 보안, 로드 밸런싱 등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Client와 Server 사이에는 계층형 층(hierarchical layers)들이 형성됩니다.
- (Code-On-Demand) Client는 받아서 바로 실행할 수 있는 applet이나 script 파일을 Server로부터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조건은 Optional한 조건으로 REST architecture가 되기 위해 이 조건이 반드시 만족될 필요는 없습니다.
기억해야 할 사실은, REST API는 바로 이런 REST architecture에 부합하는 API를 의미한다는 사실입니다. 참고로 이런 REST API를 사용하는 웹 서비스를 RESTful 서비스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식으로 Web API를 설계해야 REST API가 될 수 있는 걸까요? 사실 Roy Fielding의 논문에는 이것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내용들은 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많은 개발자들의 경험과 논의를 통해 형성된 사실상의(de facto) 규칙들이 존재하는데요.
우리는 그중에서도 조건 4. Uniform Interface의 하위 조건인 (4-1) identificaton of resources 에 관해서 특히 개발자들이 강조하는 규칙, 2가지만 배워보겠습니다.
(1) URL은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해서만 사용하고, 리소스에 대한 처리는 메소드로 표현해야 합니다.
이 규칙은 조금 다르게 설명하자면, URL에서 리소스에 대한 처리를 드러내면 안 된다는 규칙인데요.
URL은 리소스를 나타내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리소스에 대한 처리는 메소드로 표현해야 한다는 사실, 꼭 기억하세요!
(2) 도큐먼트는 단수 명사로, 컬렉션은 복수 명사로 표시합니다.
path 부분에서 특정 리소스를 나타낼 때 슬래시(/)를 사용해서 계층적인 형태로 나타냅니다. 이렇게 계층적 관계를 잘 나타내면, URL만으로 무슨 리소스를 의미하는지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Web API를 설계할 때는 이렇게 가독성 좋고, 이해하기 쉬운 URL을 설계해야 하는데요. 그런데 이때 지켜야 할 규칙이 있습니다.
사실 리소스는 그 특징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우리는 '컬렉션(collection)'과 '도큐먼트(document)'를 배울 건데요. 보통 우리가 하나의 객체로 표현할 수 있는 리소스를 '도큐먼트'라고 합니다. 그리고 여러 개의 '도큐먼트'를 담을 수 있는 리소스를 '컬렉션'이라고 하는데요. 쉽게 비유하자면, 도큐먼트는 하나의 '파일', 컬렉션은 여러 '파일'들을 담을 수 있는 하나의 '디렉토리'에 해당하는 개념입니다.
그리고 이에 관한 규칙은 바로, URL에서 '도큐먼트'를 나타낼 때는 단수형 명사를, '컬렉션'을 나타낼 때는 복수형 명사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칙입니다.
====
상태코드
1. 각각의 상태 코드에는 대응되는 상태 메시지가 있습니다.
모든 상태 코드(Status Code)는 각각 그에 대응되는 상태 메시지(Status Message)를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배운 200번은 OK, 404번은 Not Found라는 상태 메시지를 갖고 있습니다. 각 상태 코드의 의미를 모두 외우기는 힘들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 메시지는 상태 코드의 의미를 빠르게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2. 상태 코드는 100번대~500번대까지 있어요.
이전 영상에서는 상태 코드 200번과 404번만 봤는데요. 사실 상태 코드는 100번대부터 500번대까지 존재합니다. 그리고 각 번호대는 그것만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요. 각 번호대 별 주요 상태 코드들을 살펴봅시다. 각 상태 코드는 상태 코드 옆에 바로 상태 메시지를 쓰는 형식(예: 200 OK)으로 나타내겠습니다.
(1) 100번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정보성 응답(Informational response)을 줄 때 사용되는 상태 코드들입니다.
- 100 Continue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계속 리퀘스트를 보내도 괜찮은지 물어봤을 때, 계속 리퀘스트를 보내도 괜찮다고 알려주는 상태 코드입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용량이 좀 큰 파일을 리퀘스트의 바디에 담아 업로드하려고 할 때 서버에게 미리 괜찮은지를 물어보는 경우가 있다고 할 때, 서버가 이 100번 상태 코드의 리스폰스를 주면 그제서야 본격적인 파일 업로드를 시작합니다.
- 101 Switching Protocols : 클라이언트가 프로토콜을 바꾸자는 리퀘스트를 보냈을 때, 서버가 '그래요, 그 프로토콜로 전환하겠습니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쓰이는 상태 코드입니다.
(2) 200번대
클라이언트의 리퀘스트가 성공 처리되었음을 의미하는 상태 코드들입니다.
- 200 OK : 리퀘스트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상태 코드입니다. 이때 성공의 의미는 리퀘스트에 있던 메소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겠죠? GET 리퀘스트의 경우 리소스가 잘 조회되었다는 뜻이고, POST 리퀘스트의 경우 새 리소스가 잘 생성되었다, PUT 리퀘스트의 경우 기존 리소스가 잘 수정되었다, DELETE 리퀘스트의 경우 기존 리소스가 잘 삭제되었다는 뜻입니다.
- 201 Created : 리퀘스트의 내용대로 리소스가 잘 생성되었다는 뜻입니다. POST 리퀘스트가 성공한 경우에 200번 대신 201번이 올 수도 있습니다.
- 202 Accepted : 리퀘스트의 내용이 일단은 잘 접수되었다는 뜻입니다. 즉, 당장 리퀘스트의 내용이 처리된 것은 아니지만 언젠가 처리할 것이라는 뜻인데요. 리퀘스트를 어느 정도 모아서 한번에 실행하는 서버인 경우 등에 이런 응답을 줄 수도 있습니다.
(3) 300번대
클라이언트의 리퀘스트가 아직 처리되지 않았고, 리퀘스트 처리를 원하면 클라이언트 측의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상태 코드들입니다.
- 301 Moved Permanently : 리소스의 위치가 바뀌었음을 나타냅니다. 보통 이런 상태 코드가 있는 리스폰스의 헤드에는 Location이라는 헤더도 일반적으로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 헤더의 값으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새 URL이 담겨있는데요.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만약 GET 리퀘스트를 보냈는데 이런 상태 코드가 담긴 리스폰스를 받게 되면, 헤드에 포함된 Location 헤더의 값을 읽고, 자동으로 그 새 URL에 다시 리퀘스트를 보내는 동작(리다이렉션, redirection)을 수행합니다.
- 302 Found : 리소스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바뀌었음을 나타냅니다. 이 말은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나중에는 현재 요청한 URL이 정상적으로 인식될 것이라는 뜻입니다. 이 상태 코드의 경우에도 보통 그 리스폰스의 헤드에 Location 헤더가 있고, 여기에 해당 리소스의 임시 URL 값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대부분의 브라우저들은 임시 URL로 리다이렉션합니다.
- 304 Not Modified : 브라우저들은 보통 한번 리스폰스로 받았던 이미지 같은 리소스들을 그대로 내부에 저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버는 해당 리소스가 바뀌지 않았다면, 리스폰스에 그 리소스를 보내지 않고 304번 상태 코드만 헤드에 담아서 보냄으로써 '네트워크 비용'을 절약하고 브라우저가 저장된 리소스를 재활용하도록 하는데요. 사실 이 상태 코드는 웹에서 '캐시(cache)'라는 주제에 대해서 공부해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당장 배울 내용은 아니니까 넘어갈게요. 혹시 관심이 있는 분들은 이 링크를 참조하세요.
(4) 400번대
리퀘스트를 보내는 클라이언트 쪽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는 상태 코드들입니다.
- 400 Bad Request : 말그대로 리퀘스트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리퀘스트 내부 내용의 문법에 오류가 존재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발생합니다.
- 401 Unauthorized : 아직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unauthenticated) 사용자로부터 온 리퀘스트를 처리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 403 Forbidden : 사용자의 신원은 확인되었지만 해당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는 사용자라서 리퀘스트를 처리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 404 Not Found : 해당 URL이 나타내는 리소스를 찾을 수 없다는 뜻입니다. 보통 이런 상태 코드가 담긴 리스폰스는 그 바디에 관련 웹 페이지를 이루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405 Method Not Allowed : 해당 리소스에 대해서 요구한 처리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만약 어떤 서버의 이미지 파일을 누구나 조회할 수는 있지만 아무나 삭제할 수는 없다고 해봅시다. GET 리퀘스트는 허용되지만, DELETE 메소드는 허용되지 않는 상황인 건데요. 그런데 만약 그 이미지에 대한 DELETE 리퀘스트를 보낸다면 이런 상태 코드를 보게될 수도 있습니다.
- 413 Payload Too Large : 현재 리퀘스트의 바디에 들어있는 데이터의 용량이 지나치게 커서 서버가 거부한다는 뜻입니다.
- 429 Too Many Requests : 일정 시간 동안 클라이언트가 지나치게 많은 리퀘스트를 보냈다는 뜻입니다. 서버는 수많은 클라이언트들의 리퀘스트를 정상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특정 클라이언트에게만 특혜를 줄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지나치게 리퀘스트를 많이 보내는 클라이언트에게는 이런 상태 코드를 담은 리스폰스를 보낼 수도 있습니다.
(5) 500번대
서버 쪽의 문제로 인해 리퀘스트를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상태 코드들입니다.
- 500 Internal Server Error : 현재 알 수 없는 서버 내의 에러로 인해 리퀘스트를 처리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 503 Service Unavailable : 현재 서버 점검 중이거나, 트래픽 폭주 등으로 인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이 상태 코드들도 '모범적인 Web API, REST API' 노트에서 배웠던 'Web API 설계' 시에 결정되어야 하는 요소들입니다. 리퀘스트에 관한 URL과 메소드 종류 뿐만 아니라 리스폰스의 상태 코드 또한 각각의 상황에 알맞은 것들이 설정되도록 설계해야 하는데요. 사실 모든 상황을 세분화해서 매번 거기에 맞는 상태 코드를 넣는 것은 불필요한 작업이 될 수도 있긴 합니다. 그래서 보통은 꼭 사용할 상태 코드들만 추린 다음에 특정 유형의 상황들은 모두 하나의 상태 코드로 나타내는 전략이 주로 활용되는데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서버가 리퀘스트를 잘 처리했든, 실패했든 상태 코드로 항상 200번을 보내버린다거나 하는 것은 매우 좋지 않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존재하는 상태 코드를 최대한 많이 활용하는 것입니다.
또다른 상태 코드들도 궁금한 분들은 여기 이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
이때까지 우리는 리퀘스트와 리스폰스가 둘다 헤드(head)와 바디(body)라는 걸로 이루어져 있다는 걸 배웠습니다. 그리고 헤드에는 각종 부가 정보, 바디에는 실제 데이터가 들어간다는 것도 배웠죠. 이때 헤드에 다양한 헤더(header)들이 있는 것도 직접 봤는데요.
각 헤더의 의미도 이번 토픽에서 하나씩 설명하면 좋겠지만, 헤더의 종류는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 지금 당장 다 알려드릴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Content-Type 헤더에 대해서는 미리 알아두고 가면 좋습니다.
1. Content-Type 헤더
Content-Type 헤더는 현재 리퀘스트 또는 리스폰스의 바디에 들어 있는 데이터가 어떤 타입인지를 나타냅니다.
사실 이때까지 우리는 리퀘스트 또는 리스폰스의 바디에 HTML, JavaScript 등의 코드 또는 JSON 데이터가 들어가는 경우만 봤습니다. 하지만 실무 개발에서는 리퀘스트 또는 리스폰스의 바디에 이것 말고도 정말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넣게 될 텐데요. 텍스트부터 시작해서 이미지, 영상까지 정말 많은 것들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데이터들의 타입 정보가 Content-Type 헤더에 담겨있는 겁니다.
Content-Type 헤더의 값은 '주 타입(main type)/서브 타입(sub type)'의 형식으로 나타나는데요. 우리가 흔히 만나게 될 Content-Type 헤더의 값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주 타입이 text인 경우(텍스트)
- 일반 텍스트 : text/plain
- CSS 코드 : text/css
- HTML 코드 : text/html
- JavaScript 코드 : text/javascript ...
- 주 타입이 image인 경우(이미지)
- image/bmp : bmp 이미지
- image/gif : gif 이미지
- image/png : png 이미지 ...
- 주 타입이 audio인 경우(오디오)
- audio/mp4 : mp4 오디오
- audio/ogg : ogg 오디오 ...
- 주 타입이 video인 경우(비디오)
- video/mp4 : mp4 비디오
- video/H264 : H264 비디오 ...
우리가 이미 익숙하게 접하는 데이터 타입들이죠?
위 타입들에 속하지 않는 것들은, 보통 application이라고 하는 주 타입에 속하는데요.
- 주 타입이 application인 경우
- application/json : JSON 데이터
- application/octet-stream : 확인되지 않은 바이너리 파일 ...
우리가 배운 JSON을 나타내는 값이 바로 여기에 속하네요. application/json이라는 값이 JSON 데이터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잘 기억해둡시다.
마지막으로 application/octet-stream이라고 하는 값도 보이는데요. '확인되지 않은 바이너리 파일'이라는 게 뭘까요? 일단 '바이너리 파일'이 뭔지를 알아야 할 것 같은데요. 컴퓨터에서는 모든 파일이 0과 1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아시죠? 하지만 이때 그 0과 1의 조합이 우리가 읽을 수 있는 텍스트로 변환 가능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의 예로는 이미지 파일이나 비디오 파일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텍스트 파일 이외의 파일들을 보통 바이너리 파일(binary file)이라고 하는데요. 이 바이너리 파일들 중에서도 특정 확장자(.png, .mp4 등)의 포맷에 해당하지 않는 데이터들을 보통 이렇게 application/octet-stream으로 나타냅니다. 참고로 브라우저는 리스폰스의 Content-Type 헤더의 값으로 application/octet-stream이 쓰여 있으면 보통,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받으시겠습니까'와 같은 alert 창을 띄웁니다.
이렇게 리퀘스트 또는 리스폰스의 바디에는 JSON 말고도 아주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들이 담길 수 있는데요. Content-Type 헤더의 값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들을 모두 보고 싶다면 관련 공식 문서를 참조하세요.
그런데 Content-Type 헤더는 왜 필요한 걸까요? Content-Type 헤더가 존재하면, 바디의 데이터를 직접 확인해서 그 타입을 추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리퀘스트의 바디에 JSON 데이터를 담아 보낼 때 헤드에서 이 Content-Type의 값을 application/json으로 알맞게 설정하고 보낸다고 합시다. 만약 이 Content-Type을 써주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서버에서 바디의 데이터가 어떤 타입인지를 확인하는 절차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겁니다.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거죠. 그리고 리스폰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리스폰스를 받았는데 Content-Type 헤더의 값이 없으면 이 데이터가 무슨 타입인지 별도로 확인하고, 처리해줘야 하겠죠?
따라서 리퀘스트든, 리스폰스든 바디에 어떤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이 Content-Type 헤더의 값을 적절하게 설정해주는 게 좋습니다.
이제 우리는 리퀘스트와 리스폰스의 바디에 정말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들이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때까지는 실제로 개발자가 되면 주로 사용하게 될 JSON 타입을 많이 다뤄봤는데요. 하지만 정말 개발자가 된다면 JSON 뿐만 아니라 이전 노트에서 봤던 일반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수많은 타입들을 다루게 될 겁니다. 이번 노트에서는 여러분이 추가적으로 알아두면 좋을 데이터 타입들을 공부해보겠습니다.
1. JSON 말고 XML도 있어요.
개발자들이 어떤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흔히 쓰는 데이터 포맷으로는 JSON 뿐만 아니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라고 하는 데이터 포맷도 있습니다. XML을 한마디로 쉽게 이야기하자면, 태그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JSON 데이터를 XML로는 이렇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사실 XML이라는 데이터 타입은 JSON이 2013년에 표준화되고 그 뒤로 활성화되기 전까지만 해도 정말 많이 사용되던 데이터 타입이었습니다. 여러분이 개발 관련 문서들을 구글링하다보면 여전히 이 XML로 표현된 데이터들을 자주 볼 수 있게 될 텐데요.
XML을 쓸 때는 보통 스키마(Schema)라는 별도의 문서를 함께 사용합니다. 이 스키마에는 각 조직, 기관 등에서 XML로 데이터를 나타낼 때, 어떤 태그들을 사용할 수 있고, 각 태그의 의미는 무엇이며, 특정 태그는 어떤 타입의 값을 가질 수 있는지 등의 정보가 담겨있는데요. 따라서 XML은 데이터에 대한 엄격한 유효성(validity) 검증에 특화된 데이터 포맷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XML은 같은 양의 데이터를 표현하더라도 JSON에 비해 더 많은 용량을 차지하고, JSON에 비해 가독성이 떨어지며, 배우기가 어렵다는 문제 등으로 인해, 오늘날 XML의 입지는 다소 좁아진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나 자바스크립트가 중심이 되는 웹 개발 세계에서는 우리가 배운 것처럼 자바스크립트의 문법과 JSON 문법이 대체로 호환되기 때문에 더더욱 JSON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하지만 만약 여러분이 외부로 공개된 여러 Open API 같은 것들을 살펴보면 여전히 XML 타입의 데이터를 리스폰스로 주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XML 타입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런 타입의 데이터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미리 고민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참고로 XML을 나타내는 Content-Type 헤더의 값은 'application/xml'입니다. 그리고 'application/xml'뿐만 아니라 XML의 문법을 따르되 거기에 특수한 규칙을 더해 만든 데이터 타입들도 존재합니다. 보통 이런 타입들은 그 이름 끝에 +xml을 붙여서 사용하는데요. Content-Type 헤더의 값에 관한 이 공식 문서에 접속해서 +xml 이라는 키워드로 페이지 내 검색을 해보세요. XML 문법을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타입들을 볼 수 있을 겁니다.
2. form 태그에서 사용되는 타입들
이때까지 배운 JSON, XML 이런 것들 말고도 개발자라면 알아둬야 할 데이터 타입이 또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1)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타입 (2) multipart/form-data 타입
이 2가지인데요. 각각의 타입에 대해 순서대로 알아봅시다.
(1)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뭔가 굉장히 긴 이름의 타입이죠? 이 타입은 우리가 HTML의 form 태그(<form></form>)를 사용할 때 종종 보게되는 타입입니다. form 태그는 회원가입 화면이나 게시물 업로드 화면 등을 만들 때 주로 활용되는 HTML 태그인데요. form 태그를 사용하면 자바스크립트 코드 없이 오로지 HTML만으로도 리퀘스트를 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오늘날에는 form 태그를 사용하지 않고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직접 사용자의 입력값을 취합해서 리퀘스트를 보내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form 태그만으로 리퀘스트를 보내는 방식도 쓰이고는 있기 때문에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form 태그는 기본적으로 이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타입의 데이터를 바디에 담아서 보내는데요.
URL 인코딩이란 URL에서 특정 특수문자들 그리고 영어와 숫자를 제외한 다른 나라의 문자들을 이런 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왜 이런 작업이 필요할까요? URL 관련 표준에 따르면, URL을 처리할 때,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문자들은 Percent encoding이라는 것을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Percent encoding이 바로 URL encoding인데요. 어떤 경우에 Percent encoding을 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아래와 같은 특수 문자들은 URL에서 특별한 용도를 갖고 있는 문자들입니다. 이런 특수 문자들이 각자 자신의 원래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Percent Encoding을 해줘야 합니다.
그러니까 이런 기호들이 URL에서 본래의 용도로 사용되는 게 아니라, 어떤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면 이때는 Percent encoding을 해서 나타내줘야 한다는 뜻입니다. 방금 전 봤던 @, !, 공백 이 글자들도 이 표에 속하고, 본래의 용도가 아닌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용도로 쓰였기 때문에 Percent encoding 되었던 것입니다.
그럼 왜 이런 Percent Encoding이 필요한 걸까요? 그건 바로 URL에 대한 해석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2) multipart/form-data
이 컨텐츠 타입은 실무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타입입니다. 이때까지 우리가 살펴본 Content-Type 값들은, 하나의(Single)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내는 값들이었습니다. text/html, vidoe/mp4, application/json 등 모두 데이터 하나의 타입을 나타냈었죠? 그런데 이 multipart/form-data는 좀 특별합니다. multipart(여러 개의 파트)라는 단어에서도 유추할 수 있듯이 이 값은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하나로 합친 데이터를 의미하는 타입입니다.
그럼 언제 이런 값이 필요할까요? 잠깐 우리가 게시판에 게시글을 올릴 때를 생각해봅시다. 우리는 글의 제목과 내용을 적고, 이미지 파일이나 영상 파일을 첨부하기도 합니다. 이때 우리가 '게시글 업로드' 버튼을 누르면 파일들의 내용도 리퀘스트에 함께 담겨서 가야할텐데 이때 Content-type의 값은 무엇이어야 할까요? 바로 이럴 때 사용되는 것이 multipart/form-data입니다.
이 multipart/form-data 타입의 데이터도 위에서 살펴본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타입 때처럼
(1) form 태그만으로도 그리고 (2) 자바스크립트 코드만으로도
리퀘스트의 바디에 담아 전송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multipart/form-data 타입은 여러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서 리퀘스트의 바디에 담아보내려고 할 때 사용되는 아주 중요한 타입입니다. 실제 웹 서비스를 떠올려보면, 우리가 회원가입을 하든, 게시글을 업로드하든 다양한 데이터를 한번에 묶어서 보내는 경우가 많죠? 실제로 개발을 할 때도 자주 사용하게 되는 타입이니까 꼭 기억해두세요.
하지만 이 타입들의 존재조차도 모르고 개발 실무로 가면 많이 헤맬 수 있기 때문에, 여러분의 시간 낭비를 줄여드리고자 미리 알려드립니다. 이 두 가지 타입이 존재한다는 것 정도만 기억하시고, 필요한 경우에 좀더 자세히 공부해보세요. 혹시 각 타입에 대해 좀더 깊게 공부하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공식 문서
===
1. Ajax
초창기의 웹은 특정 웹 페이지에서 다른 웹 페이지로 갈 수 있는 링크(공식 명칭은 hyperlink입니다)를 클릭하면 새로운 웹 페이지가 로드되는 방식이었습니다. 오늘날에도 당연히 쓰이고 있는 방식인데요.
하지만 화면의 일부분만 바뀌면 되는 경우에도 매번 새 페이지가 로드되는 방식은 효율적이지도 않고 사용자에게도 그다지 좋지 않은 경험을 안겨주었습니다. 그래서 2000년대 초부터는 웹의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Ajax라는 기술이 도입되었습니다. Ajax는 웹 브라우저가 현재 페이지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서버에 리퀘스트를 보내고 리스폰스를 받아서, 새로운 페이지를 로드하지 않고도 변화를 줄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Ajax는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줄임말인데요. 이는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서 비동기적으로(=사용자가 보고 있는 현재 화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별도로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을 처리한다는 뜻) 리퀘스트를 보내고 리스폰스를 받는데 기반이 되는 기술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마지막에 XML이 쓰인 것은 Ajax라는 용어가 생겨난 당시에 XML이 가장 많은 인기를 누리던 데이터 타입이었기 때문입니다. 오늘날에는 XML 말고 JSON도 꽤 많이 쓰이고 있긴 하지만요.
자, 어쨌든 지금 중요한 것은 Ajax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Ajax의 원리는 여러분이 흔히 쓰는 구글 맵(Google Map) 같은 웹 서비스를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예전엔 XMLHttpRequest를 이렇게 직접 사용할 일이 많았지만 요즘에는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됩니다.(2020년 1월 기준) 그 이유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요.
첫 번째 이유는 XMLHttpRequest 객체 이후에 등장한 함수, 바로 이때까지 우리가 배운 fetch 함수를 사용해서 Ajax 통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까지 배운 fetch 함수가 Ajax 통신을 하는 함수였다니 놀랍죠? fetch 함수는 XML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할 때에 비해 좀 더 짧고 간단한 코드로 Ajax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입니다. 그래서 많은 개발자들의 환영을 받았죠.
두 번째 이유는 XMLHttpRequest을 기반으로 더 쓰기 편하게 만들어진 axios라는 패키지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라이브러리보다는 '패키지'라는 단어를 더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패키지'라고 표현하겠습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굳이 XMLHttpRequest 객체를 직접 가져다 쓸 필요성이 줄어든 것입니다.
개발 실무에서는 fetch 함수 또는 axios 패키지를 사용하는데요. 보통 axios 패키지에 좀더 다양한 기능들이 있어서 주로 axios를 쓰는 편이지만, 외부의 패키지를 설치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fetch 함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일단 fetch 함수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야 axios도 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토픽에서는 fetch 함수를 중심으로 내용을 진행하고 있는 겁니다.
앞으로 웹 개발을 할 때는 Ajax 통신인 것과 Ajax 통신이 아닌 것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일단 Ajax 통신이 아닌 것은 이런 태그를 사용자가 클릭하도록 해서 웹에서의 전통적인 방식처럼 새 페이지를 로드하게 하는 방식이고, Ajax 통신인 것은 이런 식으로 사용자가 느낄 수 없게, 리퀘스트를 보내고 리스폰스를 받아 현재 페이지에 원하는 변화를 주는 방식이죠.
사용자 경험을 고려해서
(1) 언제 아예 새로운 페이지를 로드하고 (2) 언제 Ajax 통신을 해서 현재 페이지 내에서 부드러운 변화를 줄 건지를
잘 결정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양쪽 모두 공부해둬야 필요한 순간에 코드로 잘 구현해낼 수 있겠죠? 일단 이때까지 배운 fetch 함수가 사실은 Ajax 통신을 하는 함수였다는 사실만큼은 꼭 기억합시다!
2. GET, POST, PUT, DELETE 이외의 메소드들
이때까지 우리는 리퀘스트에 설정할 수 있는 GET, POST, PUT, DELETE 메소드에 대해 배웠습니다. 그런데 사실 메소드에는 이것 말고 다른 것들도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알아두면 좋은 2가지 메소드를 소개합니다.
(1) PATCH
PATCH 메소드는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하는 메소드입니다. 그럼 우리가 배운 PUT 메소드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PUT은 기존 데이터를 아예 새로운 데이터로 덮어씀으로써 수정하려고 할 때 쓰는 메소드이고, PATCH는 새 데이터로 기존 데이터의 일부를 수정하려고 할 때 쓰는 메소드입니다.
PUT 메소드는 서버에 존재하는 기존 데이터를 새로운 데이터로 아예 덮어쓰기하는 방식으로 수정합니다. 따라서 PUT 메소드의 경우에는 원하는 새 데이터의 온전한 모습 전체를 바디에 담아서 보내줘야 합니다.
하지만 PATCH의 경우에는 보통, 리퀘스트의 바디에 있는 내용을 기존 데이터의 각 속성과 대조 및 병합(merge-patch)하면서 데이터를 수정하기 때문에 때문에, 바디에 수정할 프로퍼티의 데이터만 넣어줘도 되는 겁니다.
데이터를 수정하는 메소드 중에서 PUT은 덮어쓰기, PATCH는 일부 수정를 의미한다는 사실을 기억해두세요.
(2) HEAD
메소드에는 HEAD 메소드라는 것도 있습니다. HEAD 메소드는 GET 메소드와 동일합니다. 대신 GET 리퀘스트를 보냈을 때 받았을 리스폰스에서 바디 부분은 제외하고, 딱 헤드 부분만 받는다는 점이 다른데요. 왜 이런 메소드가 필요할까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가 서버로부터 용량이 엄청나게 큰 영상 파일을 받고자 하는 상황이라고 해봅시다. 만약 파일의 용량이 너무 큰 경우에는 파일을 받지 않으려고 하는데요. 이때 파일의 용량만 조사하기 위해서 HEAD 메소드가 담긴 리퀘스트를 보내볼 수 있습니다.
실제 데이터가 아니라 데이터에 관한 정보만 얻으려고 하는 상황 등에 HEAD 메소드가 활용됩니다.
방금 본 것처럼 우리가 배운 GET, POST, PUT, DELETE 외에도 리퀘스트에 설정할 수 있는 메소드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각 메소드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기억해두면 Web API를 설계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혹시 또 다른 메소드들에 대해서도 알고 싶다면 이 링크를 참조하세요.
3. 웹 통신 말고 다른 통신도 있어요.
우리는 이때까지 웹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그런데 이 시점에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하는 사실이 있습니다. 사실 하나의 컴퓨터와 다른 컴퓨터가 통신하는 공간에는 웹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이게 무슨 말일까요? 이전에 살펴본 웹의 특징에는 'HTTP, HTTPS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한다'는 것도 있었죠?
하지만 컴퓨터끼리 통신하는 프로토콜에는 이것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HTTP, HTTPS 이외에도, FTP, SSH, TCP, UDP, IP, Ethernet 등 정말 다양한 종류의 프로토콜들이 있는데요.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런 프로토콜들은 각각 네트워크 통신의 특정 계층에 속한다는 점입니다.
사실 우리가 배운 HTTP(HyperText Transmission Protocol)는 보통, 그 밑에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그리고 그 밑에 IP(Internet Protocol), 그리고 그 밑에 Ethernet이라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사실 HTTP나 HTTPS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통신은 그 하위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겁니다. 이때 위로 갈수록 고수준 프로토콜, 아래로 갈수록 저수준 프로토콜이라고 하는데요. HTTP는 매우 고수준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웹 개발자'라고 하면 당장은 HTTP 프로토콜 상에서 이루어지는 일만 공부한다고 해도 큰 어려움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특히 서버 쪽을 담당하는 '백엔드 개발자'의 경우에는 서비스의 사용자 수가 늘어나서 리퀘스트의 수가 늘어날수록 HTTP 아래에 있는 프로토콜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 각종 성능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동기 비동기
특정 작업을 시작(리퀘스트 보내기)하고 완벽하게 다 처리(리스폰스를 받아서 처리)하기 전에, 실행 흐름이 바로 다음 코드로 넘어가고, 나중에 콜백이 실행되는 것을 '비동기 실행'이라고 합니다. 이에 반해 한번 시작한 작업은 다 처리하고 나서야, 다음 코드로 넘어가는, 우리에게 익숙한 방식의 실행은 '동기 실행'이라고 하는데요.
동기 실행은 한번 시작한 작업을 완료하기 전까지 코드의 실행 흐름이 절대 그 다음 코드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일단 시작한 작업을 완벽하게 처리하고 난 다음에야 그 다음 코드로 실행 흐름이 넘어가는데요. 따라서 동기 실행의 경우 코드가 보이는 순서대로, 실행됩니다.
이와 다르게 비동기 실행은 한번 작업을 시작해두고, 그 작업이 완료되기 전이더라도 콜백만 등록해두고, 코드의 실행 흐름이 바로 그 다음 코드로 넘어갑니다. 그리고 추후에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콜백이 실행됨으로써 해당 작업을 완료하는 방식이죠. 따라서 비동기 실행에서는 코드가 꼭 등장하는 순서대로 실행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코드를 해석할 때 주의해야 하는데요.
그렇다면 '비동기 실행'이라는 건 왜 존재하는 걸까요? 그건 바로 보통 '비동기 실행'이 '동기 실행'에 비해, 동일한 작업을 더 빠른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fetch 함수가 실행되고 리스폰스가 올 때까지 기다린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바로 리스폰스가 올 때까지는 아무런 작업도 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만큼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셈이죠.
하지만 만약 비동기 실행이라면 일단 리퀘스트 보내기, 콜백 등록까지만 해두고, 바로 다음 작업(console.log('End');)을 시작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로 웹 통신을 하는 코드를 작성하려면 이런 비동기 실행의 원리와 그 장점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제부터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비동기 실행을 다루기 위해 알아야 하는 Promise 객체, async/await 구문 등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여러분이 실무에서 일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대로 이해하고 가야 하는 것들이니까 집중해서 계속 배워봅시다.
자바스크립트에는 fetch 함수 말고도, 비동기 실행되는 함수들이 존재합니다. 그 예시들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setTimeout 함수
setTimeout 함수는, 특정 함수의 실행을 원하는 시간만큼 뒤로 미루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setTimeout 함수는 아주 자주 활용되는 비동기 실행 함수이고 이번 토픽에서도 앞으로 자주 사용할 거니까 꼭 기억하세요.
2. setInterval 함수
setInterval 함수는 특정 콜백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실행하도록 등록하는 함수입니다. Interval는 '간격'이라는 뜻인데요.
3. addEventListener 메소드
addEventListener 메소드는 DOM 객체의 메소드인데요,
이때까지 배운 fetch 함수와 이번 노트에서 본 함수들을 보면 차이점이 있습니다. 일단 이번 노트에서 배운 함수들을 보면 fetch 함수는 콜백을 파라미터로 바로 전달받는 게 아니라, fetch 함수가 리턴하는 어떤 객체의 then 메소드를 사용해서 콜백을 등록하는데요. 왜 fetch 함수만 사용하는 형식이 다른 걸까요? 그건 바로 fetch 함수는, 좀 더 새로운 방식으로 비동기 실행을 지원하는 자바스크립트 문법과 연관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fetch 함수는 Promise 객체라는 것을 리턴하고, 이 Promise 객체는 비동기 실행을 지원하는 또 다른 종류의 문법에 해당하는데요.
===
text 메소드와 json 메소드가 사실은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 메소드라는 사실입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하나씩 설명해드릴게요.
1. text 메소드
fetch 함수로 리스폰스를 잘 받으면, response 객체의 text 메소드는, fulfilled 상태이면서 리스폰스의 바디에 있는 내용을 string 타입으로 변환한 값을 '작업 성공 결과'로 가진 Promise 객체를 리턴합니다. 문장이 조금 기니까 반복해서 읽어보세요. 이때 그 작업 성공 결과는 string 타입인데요. 이때 그 값이 만약 JSON 데이터라면 이전에 배운 것처럼 JSON 객체의 parse 메소드로 Deserialize를 해줘야합니다.(JSON.parse(result);)
2. json 메소드
fetch 함수로 리스폰스를 잘 받으면, response 객체의 json 메소드는, fulfilled 상태이면서, 리스폰스의 바디에 있는 JSON 데이터를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Deserialize해서 생겨난 객체를 '작업 성공 결과'로 가진 Promise 객체를 리턴합니다. 만약 리스폰스의 바디에 있는 내용이 JSON 타입이 아니라면 에러가 발생하고 Promise 객체는 rejected 상태가 되면서 그 '작업 실패 정보'를 갖게 됩니다.
자, 이때까지 우리가 계속 봐온 response 객체의 text 메소드와 json 메소드가 사실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 메소드였다는 사실, 놀랍죠?
바로 이 내용을 이전 영상에서 배웠던 내용인 'then 메소드가 리턴했던 Promise 객체(A)는 그 콜백에서 리턴한 Promise 객체(B)와 동일한 상태와 결과를 갖게 된다'는 규칙과 연관지어서 생각해봅시다. 이 말은 곧, 콜백에서 리턴한 Promise 객체로부터 새로운 Chain이 시작된다는 말과도 같은데요.
이때문에 response 객체의 text 메소드 또는 json 메소드 이후에 등장하는 then 메소드부터는 string 타입의 값이나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갖고 바로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는 겁니다. text, json 메소드가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 메소드라는 사실, 잘 기억하세요!
===
promise
Promise Chaining은 여러 개의 비동기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이렇게 리퀘스트를 보내고 리스폰스를 기다렸다가 받은 리스폰스의 결과를 활용해서 다시 리퀘스트를 보내는 방식 웹 개발에서 아주 일반적인 작업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mise의 then 메소드에 관한 규칙
(1) fetch 메소드가 리턴하는 Promise 객체를 Promise-A 객체라고 하고, (2) then 메소드가 리턴하는 Promise 객체를 Promise-B 객체라고 해봅시다.
그리고 fetch 함수의 작업이 성공하는 경우와 실패하는 경우로 나누어서 생각해보겠습니다.
- fetch 함수의 작업이 성공해서 Promise-A 객체가 fulfilled 상태가 된 경우 : then 메소드 안의 "첫 번째" 콜백인 successCallback이 실행됩니다.
- fetch 함수의 작업이 실패해서 Promise-A 객체가 rejected 상태가 된 경우 : then 메소드 안의 "두 번째" 콜백인 errorCallback이 실행됩니다.
자, 여기서 중요한 점은 Promise-B는, 실행된 successCallback 또는 errorCallback에서 무엇을 리턴하느냐에 따라
- 그 상태(fulfilled or rejected)와
- 결과(작업 성공 결과 or 작업 실패 정보)가
결정된다는 점입니다.
1. 실행된 콜백이 어떤 값을 리턴하는 경우
successCallback이 실행되든, errorCallback이 실행되든, 실행된 콜백에서 어떤 값을 리턴하는 경우입니다. 이때 그 값의 종류에 따라
- Promise 객체인 경우와
- Promise 객체 이외의 경우,
이 2가지 경우로 다시 나눌 수 있습니다.
(1)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 경우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 경우에는 그 콜백을 등록한 then 메소드가 리턴했던 Promise 객체가 콜백이 리턴한 Promise 객체의 상태와 결과를 똑같이 따라 갖게 됩니다. 즉, 위 코드의 첫 번째 then 메소드가 리턴했던 Promise 객체는, response 객체의 json 메소드가 리턴한 Promise 객체가 추후에 갖게 되는 상태와 결과를 그대로 따라서 갖게 된다는 뜻입니다.
좀 더 편하게 기억하기 위해서는 그냥 콜백에서 리턴하는 Promise 객체를 then 메소드가 그대로 리턴한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그럼 이제 그 다음부터는 콜백에서 리턴한 Promise 객체로부터 다시 Promise Chain이 쭉 이어져 나간다고 보면 되죠.
(2) Promise 객체 이외의 값을 리턴하는 경우
콜백이 꼭 Promise 객체만을 리턴하는 것은 아니겠죠? 그냥 단순한 숫자, 문자열, 일반 객체 등을 리턴할 수도 있는데요. 이런 경우에 then 메소드가 리턴했던 Promise 객체는 fulfilled 상태가 되고 작업 성공 결과로 그 값을 갖게 됩니다.
2. 실행된 콜백이 아무 값도 리턴하지 않는 경우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가 아무것도 리턴하지 않으면 undefined를 리턴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방금 전 1. (2) 규칙에 따라 then 메소드가 리턴했던 Promise 객체는 fulfilled 상태가 되고, 그 작업 성공 결과로 undefined를 갖게 됩니다.
3. 실행된 콜백 내부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때
콜백이 실행되다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의하지도 않은 함수를 콜백에서 사용해서 에러가 발생하거나 특정 경우에 인위적으로 throw 문을 써서 에러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이렇게 콜백이 실행되다가 에러가 발생한다면, then 메소드가 리턴했던 Promise 객체는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에는 Promise 객체가 rejected 상태가 되고, 작업 실패 정보로 해당 에러 객체를 갖게 됩니다.
콜백 실행 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then 메소드가 리턴한 Promise 객체는 rejected 상태가 되고, 그 작업 실패 정보로 해당 Error 객체를 갖게 된다
4. 아무런 콜백도 실행되지 않을 때
then 메소드의 아무런 콜백도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아무런 콜백도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이전 Promise 객체의 상태와 결과가 그대로 이어진다는 사실, 잘 기억하세요.
===
chach메소드
catch 메소드는 사실 then 메소드의 첫 번째 인자로 undefined을 넣은 것과 같다.
catch 메소드를 Promise Chain 가장 마지막에 붙임으로써, 중간에 에러가 발생해서 어느 Promise 객체가 rejected 상태가 되더라도 항상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걸 배웠습니다. 하지만 catch 메소드를 마지막뿐만 아니라 Promise Chain 중간중간에 쓰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만약 중간에 에러가 발생해도 catch 메소드가 그 대안을 뒤로 넘겨줄 수 있으면 catch 메소드를 중간에 써도 되는데요.
Promise Chain 중에서 비록 에러가 발생했다고 해도 만약 실패한 작업 대신 다른 방법을 통해서 작업을 정상적으로 끝마칠 수 있는 상황이라면 catch 메소드를 중간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Promise Chain 중에서 단 하나의 작업이라도 실패하면 전체 작업이 실패했다고 봐도 되는 경우에는 그냥 Promise Chain 마지막에만 catch 메소드를 써주면 되겠지만, 어떤 작업들은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방식으로 복구해서 살려낼 방법이 있다면 catch 메소드 안의 콜백에서 그런 복구 작업을 해주면 되는 겁니다. catch 메소드를 Promise Chain의 마지막에 늘 써줘야 하는 것은 맞지만, 작업을 살릴 방법이 있다면 Promise Chain 중간에 catch 메소드를 써도 된다는 사실, 잘 기억해두세요.
===
finally메소드
Promise Chain에서 늘 모든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종료되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작업이 순차적으로 정상 수행되는 경우도 있고 중간에 문제가 생겨서 그렇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요. 이 두 가지 중 어느 경우가 됐든 마지막에 항상 처리해 줘야하는 작업이 있을 때는 finally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
Promise 객체는 왜 등장한 걸까요?
사실 Promise 객체가 등장하기 전에도 비동기적인 처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은 있었습니다. 이전 노트에서 배운 setTimeout 함수나, addEventListener 메소드처럼요. 이것들은 모두 직접 파라미터에 콜백을 전달하는 형식으로 정의되어 있는데요. 그런데 왜 이런 방법이 선택되지 않고, 굳이 Promise 객체라는 문법이 도입된 것일까요? 그 이유는 바로 함수에 콜백을 직접 넣는 형식은 콜백 헬(callback hell 콜백 지옥 또는 콜백 헬(callback hell)이라고 합니다. 또는 지옥의 피라미드(Pyramid of Doom))이라고 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fetch 함수는 Promise 객체를 리턴하기 때문에, Promise Chaining을 해서 좀 더 깔끔한 코드로 여러 비동기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Promise 객체를 사용하면 callback hell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기존에 콜백을 직접 넣는 방식에 비해 Promise 객체의 문법은 비동기 작업에 관한 좀 더 세밀한 개념들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전의 방식에서는 콜백에 필요한 인자를 넣어주고 실행하면 되는 단순한 방식이었다면, Promise 객체 문법에는 pending, fulfilled, rejected 상태, 작업 성공 결과 및 작업 실패 정보(이유), then, catch, finally 메소드 등과 같은 비동기 작업에 관한 보다 정교한 설계가 문법 자체에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이렇게 Promise 객체라는 개념은,
(1) callback hell 문제를 해결하고, 이에 더해서 (2) 비동기 작업 처리에 관한 좀 더 세밀한 처리를 자바스크립트 문법 단에서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고,
그 유명한 자바스크립트의 2015년도 표준인 ES6(=ES2015)에 추가되었습니다.
오늘날 Promise는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실행에 있어서 아주 핵심적인 문법입니다
===\
언제 Promise 객체를 직접 만들게 되는 걸까요? 다양한 경우들이 있지만, 전통적인 형식의 비동기 실행 함수를 사용하는 코드를, Promise 기반의 코드로 변환하기 위해 Promise 객체를 직접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setTimeout은 비동기 실행되는 함수인데요. Promise Chaining 안에서 이렇게 비동기 실행되는 함수를 바로 사용하면, 나중에 실행되는 부분의 리턴값을 Promise Chain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전 영상에서 배웠던 Promise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이렇게 전통적인 형식의 비동기 실행 함수를 Promise 객체로 감싸서 그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 형식으로 만드는 작업을 Promisify(프로미스화하다)라고 하는데요.
2. 콜백 헬(callback hell)과 Promise
Node.js는 오늘날 자바스크립트를 서버에서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또 다른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인데요. 이 Node.js에서는 브라우저에서와는 또 다른 비동기 함수들이 제공됩니다.
Node.js에는 특정 파일의 내용을 읽기 위해 사용되는 readFile이라는 비동기 실행 메소드가 있습니다. readFile 메소드는 첫 번째 파라미터로 파일의 이름, 두 번째 파라미터로 파일 해석 기준(인코딩 기준), 세 번째 파라미터로 콜백을 받는데요. readFile 함수는 파일을 읽다가 에러가 발생하면 콜백의 첫 번째 파라미터(error)에, 해당 에러 객체를 전달하고 콜백을 실행합니다. 만약 파일을 정상적으로 다 읽었으면 콜백의 두 번째 파라미터(data)에, 읽어들인 파일 내용을 전달하고 콜백을 실행하는데요.
이 readFile 메소드도, 콜백을 파라미터에 바로 넣는 비동기 실행 함수라는 점에서 setTimeout 함수, addEventListener 메소드와 비슷합니다. 그런데 이런 형식의 함수(또는 메소드)들은 한 가지 단점이 있다고 했었죠?(참고) 그건 바로 콜백 헬(callback hell) 문제입니다.
콜백을 바로 파라미터에 집어넣는 전통적인 형식의 비동기 실행 함수들은 이런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순차적으로 비동기 실행 함수들을 실행하려고 하면 콜백 안에 또 콜백이 있고, 그 안에 또 콜백이 있는 콜백 헬(콜백 지옥, callback hell)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는 겁니다.
실제로 실무에서 개발을 하다 보면 이런 콜백 헬이 아주 큰 문제가 됩니다. 그런데 이런 함수들은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 것도 아니고 애초에 이런 형식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워 보이는데요. 이 문제에 대한 대표적인 해결책이 바로 우리가 배운 Promisify입니다.
3. Promisify를 하면 안 되는 함수들도 있습니다.
기존의 비동기 실행 함수들 중에서도 그 콜백을 한번만 실행하는 것들(setTimeout, readFile 등)만 Promisify해서 사용해도 되는데요.
이것들과 달리 만약 콜백을 여러 번 실행하는 함수들(setInterval, addEventListener 등)인 경우에는 이렇게 Promisify하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Promise 객체는 한번 pending 상태에서 fulfilled 또는 rejected 상태가 되고나면 그 뒤로는 그 상태와 결과가 바뀌지 않기 때문입니다.
콜백이 여러 번 실행되어야하는 비동기 실행 함수인 경우에는 Promisify를 하면 안 됩니다. Promisify를 하고 싶은 경우라도, 콜백이 딱 한 번 실행되는 함수인 경우에만 해야한다는 사실, 잘 기억하세요!
==
1. 이미 상태가 결정된 Promise 객체 만들기
(1) fulfilled 상태의 Promise 객체 만들기
(2) rejected 상태의 Promise 객체 만들기
2. Promise 객체의 작업 성공 결과 또는 작업 실패 정보
간혹 Promise 객체를 공부하는 분들 중에, Promise 객체가 pending 상태일 때 미리 then 메소드가 붙어있어야만 나중에 이 Promise 객체가 fulfilled 상태 또는 rejected 상태가 되었을 때 그 결과(작업 성공 결과 또는 작업 실패 정보)를 콜백의 파라미터로 받을 수 있고, 이미 fulfilled 상태 또는 rejected 상태가 된 Promise 객체의 경우에는 then 메소드를 붙여도 그 결과를 콜백에서 받지 못한다고 오해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방금 resolve, reject 메소드에서도 봤듯이 이미 fulfilled 또는 rejected 상태가 결정된 Promise 객체라도 then 메소드를 붙이면, 콜백에서 해당 작업 성공 결과 또는 작업 실패 정보를 받아올 수 있습니다. 시점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개념인 겁니다.
Promise 객체의 상태가 fulfilled 또는 rejected 상태이기만 하면, 어느 시점이든, 몇 번이든 then 메소드를 붙여서 해당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어느 시점이든, 몇 번의 then 메소드를 붙이든 상관없이, pending 상태만 아니라면 항상 then 메소드로 Promise 객체의 결과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Promise 객체는 항상 결과를 줄 수 있는 공급자(Provider)이고 그것의 then 메소드는 그 결과를 소비하는 콜백인 소비자(Consumer)를 설정하는 메소드라는 사실을 잘 기억하셔야 합니다. 시점과는 전혀 연관이 없으니까 오해하지 마세요!
여러 개의 Promise 객체를 다뤄야 할 때 사용되는 Promise의 메소드들을 배워보겠습니다.
1. all 메소드
all 메소드는 무슨 기능을 하는 걸까요? all 메소드도 then 메소드처럼 새로운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데요. all 메소드는 이렇게 아규먼트로 들어온 배열 안에 있는 모든 Promise 객체가 pending 상태에서 fulfilled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그리고 모든 Promise 객체들이 fulfilled 상태가 되면, all 메소드가 리턴했던 Promise 객체는 fulfilled 상태가 되고, 각 Promise 객체의 작업 성공 결과들로 이루어진 배열을, 그 작업 성공 결과로 갖게 됩니다.
all 메소드가 리턴한 Promise 객체는,
(1) 각 개별 Promise 객체의 작업 성공 결과로 이루어진 배열을 (2) 자신의 작업 성공 결과로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배열의 각 요소로 각 직원 정보 객체가 잘 보이죠? 이렇게 all 메소드는 여러 Promise 객체의 작업 성공 결과를 기다렸다가 모두 한 번에 취합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all 메소드는 하나의 Promise 객체라도 rejected 상태가 되면, 전체 작업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Promise 객체가 하나라도 rejected 상태가 되는 경우에 대비하려면 catch 메소드를 붙여주면 됩니다. 어차피 all 메소드도 Promise 객체를 리턴하니까 특별히 새로울 건 없겠죠?
2. race 메소드
race 메소드도 all 메소드와 마찬가지로 여러 Promise 객체들이 있는 배열을 아규먼트로 받습니다. 그리고 race 메소드도 all 메소드처럼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데요. 하지만 그 적용 원리가 다릅니다. race 메소드가 리턴한 Promise 객체는 아규먼트로 들어온 배열의 여러 Promise 객체들 중에서 가장 먼저 fulfilled 상태 또는 rejected 상태가 된 Promise 객체와 동일한 상태와 결과를 갖게 됩니다.
말그대로 race 메소드는 여러 Promise 객체들을 레이스(race, 경쟁)시켜서 가장 빨리 상태가 결정된 Promise 객체를 선택하는 메소드입니다.
allSettled 메소드 : 배열 내의 모든 Promise 객체가 fulfilled 또는 rejected 상태가 되기까지 기다리고, pending 상태의 Promise 객체가 하나도 없게 되면, A의 상태값은 fulfilled 상태가 되고 그 작업 성공 결과로, 하나의 배열을 갖게 됩니다. 이 배열에는 아규먼트로 받았던 배열 내의 각 promise 객체의
(1) 최종 상태를 status 프로퍼티, (2) 그 작업 성공 결과는 value 프로퍼티, (3) 그 작업 실패 정보는 reason 프로퍼티
에 담은 객체들이 요소로 존재합니다.
참고로 fulfilled 상태와 rejected 상태를 묶어서 settled 상태라고 하는데요. allSettled 메소드는 말 그대로 배열 속 Promise 객체들이 settled 상태가 되기만 하면 되는 겁니다. 이에 반해 위에서 배운 all 메소드는 모든 Promise 객체들이 fulfilled 상태가 되기를 기다리는 거구요.
any 메소드 : 여러 Promise 객체들 중에서 가장 먼저 fulfilled 상태가 된 Promise 객체의 상태와 결과가 A에도 똑같이 반영됩니다. 만약 모든 Promise 객체가 rejected 상태가 되어버리면 AggregateError라고 하는 에러를 작업 실패 정보로 갖고 rejected 상태가 됩니다. any라는 단어의 뜻처럼 배열 속의 Promise 객체 중 단 하나라도 fulfilled 상태가 되면 되는 겁니다.
====
fetch 함수가 Ajax 통신을 하는 함수라고 했는데요. 그런데 오늘날 개발 실무에서는 이 fetch 함수 말고도 Ajax 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고 했죠? 그것은 바로 axios 라고 하는 외부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axios 객체에서 리퀘스트를 보내는 많은 메소드들이 fetch 함수처럼 Promise 객체를 리턴합니다. 그래서 fetch 함수의 사용법과 비슷한 점이 많은데요.
다만, axios 객체에는 fetch 함수에는 없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능 및 장점들이 있습니다.
- 모든 리퀘스트, 리스폰스에 대한 공통 설정 및 공통된 전처리 함수 삽입 가능
- serialization, deserialization을 자동으로 수행
- 특정 리퀘스트에 대해 얼마나 오랫동안 리스폰스가 오지 않으면 리퀘스트를 취소할지 설정 가능(request timeout)
- 업로드 시 진행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리퀘스트 취소 기능 지원
axios가 이렇게 fetch에 비해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것은 맞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바로 별도의 다운로드가 필요한 패키지라는 점이죠. fetch 함수는 웹 브라우저에서 바로 지원되는 함수이기 때문에 별도로 패키지를 다운로드받지 않아도 되지만, axios는 별도로 패키지를 다운로드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axios에서 제공하는 추가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axios를 쓰고, 그런 기능이 필요하지 않고 별도의 패키지 다운로드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fetch 함수를 사용합니다.
실무에서는 fetch 이외에 axios도 많이 쓴다는 점, 그리고 axios 또한 리퀘스트를 보내는 주요 메소드들이 Promise 객체를 리턴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이번 챕터에서 Promise 객체를 잘 공부했다면, axios 사용법도 쉽게 익힐 수 있을 겁니다.
=====
async / await
async가 앞에 붙은 함수는 그 안에 비동기적으로 실행될 내용이 있다는 뜻이고, 그 부분은 바로 함수 내부에서 await이 붙은 부분입니다. async 함수 안의 await은 그 뒤의 코드를 실행해놓고, 코드의 실행 흐름을 함수가 호출된 외부로 바꿉니다. 외부의 코드를 모두 실행하고 나서는 await 뒤의 Promise 객체의 상태가 fulfilled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또는 이미 fulfilled 상태가 된 Promise 객체에 대해서) 그 작업 성공 결과를 추출해서 리턴해요.
async/await 구문 자체가 기존의 Promise 객체를 사용하는 코드(Promise Chaining)를
(1) 개발자가 더 편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2)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입된 일종의 Syntactic sugar(기존 문법을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문법적 장치)에 해당한다.
사실 우리에게는 이때까지 배웠던 것처럼
- 전통적인 형식의 비동기 실행 함수에 콜백을 바로 전달하거나,
- Promise 객체 뒤에 .then 메소드를 붙이는 것보다는
그냥 코드를 차례대로 써나가는 것이 더 익숙한 방식입니다. 그리고 바로 async/await 구문이 Promise 객체를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동기 실행 코드 방식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문법인 겁니다.
하지만 동기 실행 코드처럼 보인다고 해서 정말로 동기 실행되는 것은 아닙니다.
코드에서 async/await이 보인다면 사실 비동기 실행되는 코드가 있다는 걸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데요.
async/await 구문을 사용하면,
(1) Promise 객체를 사용할 때, then 메소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2) 마치 동기 실행 코드처럼 코드를 훨씬 더 간단하고 편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코드를 읽기에도 훨씬 편하구요.
하지만 이런 편안함을 얻은 대신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이 async/await 구문 중에 비동기 실행되는 부분이 있다는 사실에 유의하며 코드를 작성 및 해석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async/await 구문이 동기 실행 코드처럼 생겼다고 해도 그 속에는 Promise 객체가 존재함을 절대 잊지 마세요.
자, async/await 구문의 실행 원리를 다시 한번 정리할게요.
async 함수 안의 코드가 실행되다가 await을 만나면, 일단 await 뒤의 코드가 실행되고, 코드의 실행 흐름이 async 함수 바깥으로 나가서 나머지 코드를 다 실행합니다. 물론 함수 바깥에 더 이상 실행할 코드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어느 경우든 그 이후로는, await 뒤에 있던 Promise 객체가 fulfilled 상태가 되기를 기다립니다. 그리고 기다리던 Promise 객체가 fulfilled 상태가 되면 await이 Promise 객체의 작업 성공 결과를 리턴하는 겁니다.
그런데 이때까지 Promise 객체가 fulfilled 상태가 되기만을 기다렸는데, await 뒤의 Promise 객체가 rejected 상태가 될 수도 있겠죠?
===
try - chach
첫 번째 블록이 정상적인 처리를 담당하는 try문, 두 번째 블록이 에러가 발생했거나, rejected 상태의 Promise 객체가 생겼을 때에 대비한 catch문, 마지막 세 번째 블록은 어느 상황이든지 마지막에 항상 특정 코드를 실행하는 finally문입니다. 참고로 catch문의 경우 Promise 객체가 rejected 상태가 된 경우에도 대비할 수 있지만 원래 우리가 알던 try ~ catch문의 역할처럼 Promise 객체와 상관없는 지점에서 에러가 생겨도 대비할 수 있게 해줍니다.
===
async 함수 안에서 리턴하는 값의 종류에 따라 결국 어떤 Promise 객체를 리턴하게 되는지 아래와 같이 경우를 나누어서 살펴봅시다.
1. 어떤 값을 리턴하는 경우
(1)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 경우
async 함수 안에서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 경우에는 해당 Promise 객체와 동일한 상태와 작업 성공 결과(또는 작업 실패 정보)를 가진 Promise 객체를 리턴합니다.(그냥 해당 Promise 객체를 리턴한다고 봐도 괜찮습니다.)
(2) Promise 객체 이외의 값을 리턴하는 경우
async 함수 내부에서 Promise 객체 이외에 숫자나 문자열, 일반 객체 등을 리턴하는 경우에는, fulfilled 상태이면서, 리턴된 값을 작업 성공 결과로 가진 Promise 객체를 리턴합니다.
2. 아무 값도 리턴하지 않는 경우
이렇게 함수에서 아무런 값도 리턴하지 않으면 자바스크립트에서 어떻게 간주한다고 했죠? undefined를 리턴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했는데요. 따라서 fulfilled 상태이면서, undefined를 작업 성공 결과로 가진 Promise 객체가 리턴됩니다.
3. async 함수 내부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때
async 함수 안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rejected 상태이면서, 해당 에러 객체를 작업 실패 정보로 가진 Promise 객체가 리턴됩니다.
이렇게 async 함수가 결국 Promise 객체를 리턴한다는 사실은 아주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 말은 곧 async 함수 안에서 다른 async 함수를 가져다가 쓸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
콜백에 대하여
이때까지 우리는 '비동기 실행'에 대해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할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이번 토픽에서는 나중에 실행될 작업을 처리하는 함수를 '콜백(callback)'이라고 했는데요. 그런데 이것은 콜백의 한 가지 종류일 뿐 원래 콜백이라는 단어는 더 넓은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콜백은 어떤 함수의 파라미터로 전달되는 모든 함수를 의미하는 개념입니다. 그러니까 어떤 함수의 파라미터로 전달되기만 한다면 해당 함수는 그 함수의 콜백이 되는 것입니다. 이런 콜백은
1. 동기 실행되는 콜백과 2. 비동기 실행되는 콜백
콜백에는 동기 실행되는 콜백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