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 공부/네트워크7

프록시와 안정적인 트래픽 최종 수정: 2025.06.15프록시와 안정적인 트래픽개발자는 클라이언트보다 서버를 만들고 다루는 일이 더 많다. 서버를 다루는 개발자는 한 번에 수많은 클라이언트와 메시지를 주고받아야 한다.■ 오리진 서버와 중간서버: 포워드 프록시와 리버스 프록시클라이언트와 단일한 서버가 한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거나 나란히 위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는 수많은 네트워크 장비들이 있을 수 있고, 서버를 보완하는 수많은 중간 서버들도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어느 한 서버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문제없이 동작할 수 있도록 서버를 다중화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수많은 네트워크 장비과 중간 서버들 사이에서 클라이언트가 최종적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대상을 오리진 서버(origin server)라고 한다... 2025. 6. 15.
응용 계층 - HTTP의 응용 최종 수정: 2025.06.15응용 계층 - HTTP의 응용■ 쿠키HTTP는 기본적으로 스테이트리스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모든 HTTP 요청 메시지는 독립된 메시지로 간주된다. 그렇다면, '3일간 보지않기'와 같은 기능은 어떻게 구현되는 걸까? HTTP 쿠키(이하 쿠키)를 활용하면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쿠키(cookie)는 HTTP의 스테이트리스한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대표적 수단으로, 서버에서 생성되어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되는 쌍 형태의 데이터이다. 때로는 쿠키의 만료 기간과 같은 추가적인 속성값도 가질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받은 쿠키를 주로 브라우저에 저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쿠키는 브라우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버는 쿠키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전.. 2025. 6. 15.
응용 계층 - HTTP의 기초 최종 수정: 2025.06.03응용 계층 - HTTP의 기초응용 계층의 핵심은 HTTP이다.■ DNS와 URI / URLHTTP를 이해하려면 도메인 네임과 그를 다루는 프로토콜인 DNS, 그리고 웹 상에서의 자원 개념과 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인 URI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1. 도메인 네임과 DNS네트워크 상의 호스트를 식별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는 IP 주소이다. 하지만 오로지 IP주소만을 사용하기에는 다소 번거롭다. IP 주소로는 특정 호스트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어렵고, 더욱이 호스트의 IP 주소는 언제든 바뀔 수 있다. 그래서 사용하는 것이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다. IP 주소에 비해 기억하기 쉬울뿐더러, IP 주소가 바뀌더라도 바뀐 IP 주소에 도메인 네임을 다시 대응.. 2025. 6. 3.
전송 계층 - TCP와 UDP 최종 수정: 2025.06.01전송 계층 - TCP와 UDP네트워크 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이 IP라면, 전송 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은 TCP와 UDP이다.■ TCP와 UDP의 목적과 특징TCP와 UDP의 패킷 구조와 동작 원리를 이해하면 전송 계층의 핵심을 이해할 수 있다. 1. 포트를 통한 프로세스 식별IP 주소와 MAC 주소는 패킷을 송수신하는 호스트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런데 사실 패킷의 최종 송수신 대상은 호스트가 아니라 호스트가 실행하는 프로세스이다. 그렇다면 네트워크 상에서 호스트가 실행하는 프로세스는 어떻게 식별할 수 있을까? 포트(port) 번호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네트워크 패킷을 주고받는 프로세스에는 포트 번호가 할당된다. 그래서 IP 주소와 포트 번호는 'IP 주소:.. 2025. 6. 1.
네트워크 계층 - IP 최종수정: 2025.05.27네트워크 계층 - IPLAN을 넘어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을 주고받으려면 네트워크 계층 이상의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중요하게 사용되는 기술이 네트워크 계층의 가장 핵심적인 프로토콜인 IP(Internet Protocol)이다.■ IP의 목적과 특징IP의 본래 목적주소 지정(addressing): 네트워크 간의 통신 과정에서 호스트를 특정하는 것단편화(gragmentation): 데이터를 여러 IP 패킷으로 올바르게 쪼개어 보내는 것1. 주소 지정과 단편화주소 지정은 IP 주소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IP 패킷 헤더를 통해 알 수 있다. 송신지 IP 주소와 수신지 IP 주소 필드에는 송수신지를 식별할 수 있는 IP 주소가 명시된다. 하나의 IP 주소는 총 4바이트의 크기로 .. 2025.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