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 공부/컴퓨터 구조

보조기억장치

by 학습하는 청년 2025. 1. 8.

최종 수정 : 25.1.8

보조기억장치

자기 디스크는 얇은 금속 원판 양쪽에 자화물질을 입힌 금속이나 플라스틱 평판으로 임의의 주소로 접근하는 직접 접근 기옥장치(DASD)이다. 주소로 지정된 정보는 블록이며 보통 1개의 블록은 수백 바이트 정도다. 자기 디스크에서 주소에 의해 지정할 수 있는 단위는 블록(block)이다. 디스크의 표면은 여러 개의 동심원이 있는데 이 동심원을 트랙(track)이라고 하고 이 트랙에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트랙을 지나가는 헤드가 정보를 읽기(read) 또는 쓰기(write)를 한다. 액세스 암(access arm)이라고 하는 금속 끝에 헤드가 달려 있으며, 이 헤드를 통해서 정보를 read/write한다.

 

헤드가 1개인 경우는 액세스 암을 움직이면서 헤드가 원하는 트랙을 찾아간다. 이렇게 헤드를 움직이는 디스크를 이동 헤드 디스크(moving head disk)라 한다. 그러나 특정 트랙으로 헤드를 움직이는 시간은 수 msec로 길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각 트랙마다 헤드를 고정 부착하여 헤드가 트랙으로 이동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디스크를 고정 헤드 디스크(fixed head disk)라 한다. 이동 헤드 디스크에는 플롶 디스크(floppy disk)가 있고, 고정 헤드 디스크에는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있다.


1. 디스크 구조 및 용도

디스크의 표면은 트랙(track)과 섹터(sector)로 나눈다. 디스크의 동심원을 이루고 있는 각 원형의 기록위치를 트랙이라 하고, 동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트랙의 모임을 실린더(cylnder)라고 한다. 트랙에서 주소가 지정되는 최소 단위의 영역을 섹터라 한다.


2. 디스크 접근시간(disk access time)

디스크에서 데이틔 읽기와 쓰기는 트랙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동 헤드 디스크인 경우에는 하나의 읽기/쓰기 헤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트랙을 찾아서 이동해야 한다. 이와 같이 디스크가 트랙을 찾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탐색시간(seek time)이라 한다. 그리고 이 트랙에서 원하는 데이터가 있는 섹터의 시작주소에 헤드가 위치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회전 지연시간(rotation delay time)이라 하고, 주기억장치와 자기 디스크 사이의 자료 전송을 위하여 걸리는 시간을 데이터 전달시간(data transfer time)이라 한다.

액세스 타임 = 탐색 시간 + 회전시간  데이터 전달시간

 

디스크에 데이터를 읽고/쓰기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헤드를 해당 트랙으로 이동시킨다.
  2. 원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섹터의 시작주소에 헤드가 위치한다.
  3. 데이터를 전송한다.

참고

독학사 교재

'CS 공부 >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D(Solide-State Drive)  (0) 2025.01.08
광기억장치  (0) 2025.01.08
가상기억장치  (0) 2025.01.08
캐시기억장치  (0) 2025.01.08
주기억장치  (0) 2025.01.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