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프로젝트34 트러블 슈팅 - 로그아웃 세션 유지 문제 최종 수정: 2025.09.11트러블 슈팅 - 배포환경에서 로그아웃 세션 유지 문제cf. window.location.replace() / router.push() 차이상황개발 환경에서는 로그아웃이 잘 되는데, 배포 환경에서는 로그아웃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확인해보니, 로그아웃 버튼을 클릭했음에도 Local storage에 access_token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개발환경에서는 바로 삭제되어 로그아웃이 정상적으로 처리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배포 환경에서 로그아웃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코드에서처럼 바로 메인화면으로 이동되는 것까지 확인하였다.// 로그아웃const logoutMutation = useMutation({ mutationFn: async () => { .. 2025. 9. 11. 회원가입 - Supabase 이메일 인증 vs JWT 최종 수정: 2025.09.10Supabase의 내장 인증 시스템 vs 직접 JWT 구현1. 기본 아키텍처 차이A. Supabase 이메일 인증 방식// Supabase는 내부적으로 JWT를 사용하지만 추상화되어 있음const { data, error } = await supabase.auth.signUp({ email: 'user@example.com', password: 'password123', options: { emailRedirectTo: `${window.location.origin}/auth/confirm`, }});// 세션 확인 (JWT 토큰이 내부적으로 관리됨)const { data: session } = await supabase.auth.getSession();Clie.. 2025. 9. 10. 트러블 슈팅 - 중첩 Link 태그 개선 중첩 Link 오류사진과 같이 카드 컴포넌트 안에, 작성자가 내용을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려고 코드를 작성했다. 그러나 Link 태그 안에 Link 태그를 작성하니 에러가 발생했다. { ... } {showActions && reflection.is_own && ( )} { ... } 이처럼 Link 안에 Link 태그를 사용하는 것은 HTML 표준상 불가능하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구조로 해결했다.const handleEdit = (e: React.MouseEvent) => { e.stopPropaga.. 2025. 9. 7. CI/CD와 테스트 25년 9월 7일pnpm 패키지에 Next.js에 Jest를 도입하려고 하는데, 계속 parse 에러가 나타나고 있다.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다.goals 도메인에서만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E2E 테스트를 작성해뒀는데, pnpm test를 시작하면 parsing에러가 나타난다. 그래서 지금은 다른 도메인 기능구현을 먼저하고 있다. CI/CD 적용현재 프로젝트 진행현황은 다음과 같다.도메인 별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예산(feat/budget)과 목표(feat/goals) 도메인을 main 브랜치에 PR을 보내고 병합을 마친 상태였다.이전 프로젝트에서 배포과정에서 경험한 고생을 되풀이 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CI/CD를 공부할 겸 적용해보기로 했다.우선, 개발용 브랜치를 하나 생성했다.. 2025. 9. 7. UX 개선 - 소프트 삭제, 낙관적 업데이트(삭제와 복구) 최종 수정: 2025.09.04카테고리 항목이 늘어남에 따른 불편함카테고리 항목이 늘어날수록, 항목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laptop 환경에서만 해도 이렇게 길어지는데, 모바일 환경에서는 항목이 많아질수록 화면보다 더 길어질 우려도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이에 대해, 태그 형태로 변경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카테고리를 삭제 기능을 도입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자 한다. 그러나, 카테고리를 삭제하면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는 문제가 존재하므로 '소트프 삭제'를 적용할 생각이다.Q. 소프트 삭제?UI 상에서만 삭제하고 데이터는 보존하는 방법 이를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는 주로 사용하는 카테고리만 보이므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적용한 결과는 다.. 2025. 9. 4. 이전 1 2 3 4 ··· 7 다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