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테스트/프로그래머스 0단계 - 기초 트레이닝12

프로그래머스 0단계 - 배열 만들기 1 / n개 간격의 원소들 배열 만들기 1 정수 n과 k가 주어졌을 때, 1 이상 n이하의 정수 중에서 k의 배수를 오름차순으로 저장한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1 ≤ n ≤ 1,000,000 1 ≤ k ≤ min(1,000, n) function solution(n, k) { const numArr = []; const result = []; for (let i = 0; i < n; i++) { numArr.push(i + 1); if (numArr[i] % k === 0) result.push(numArr[i]); } return result; } // 다른 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n, k) { let answer = []; for(let i = k; i num_li.. 2024. 4. 2.
프로그래머스 0단계 - 조건에 맞게 수열 변환하기 3 / A 강조하기 조건에 맞게 수열 변환하기 3 정수 배열 arr와 자연수 k가 주어집니다. 만약 k가 홀수라면 arr의 모든 원소에 k를 곱하고, k가 짝수라면 arr의 모든 원소에 k를 더합니다. 이러한 변환을 마친 후의 arr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1 ≤ arr의 길이 ≤ 1,000,000 1 ≤ arr의 원소의 값 ≤ 100 1 ≤ k ≤ 100 function solution(arr, k) { const newArr = []; for(let i = 0; i < arr.length; i++) { if(k % 2 !== 0) newArr.push(arr[i] * k); if(k % 2 === 0) newArr.push(arr[i] + k); } return newArr; } //.. 2024. 4. 1.
프로그래머스 0단계 - 문자열 섞기, 문자열로 변환 문자열 섞기 두 문자열의 각 문자가 앞에서부터 서로 번갈아가면서 한 번씩 등장하는 문자열을 만들어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1 ≤ str1의 길이 = str2의 길이 ≤ 10 str1과 str2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 function solution(str1, str2) { let answer = ''; for(let i = 0; i x+str2[idx]).join(""); } 두 문자열의 길이가 .. 2024. 3. 30.
프로그래머스 0단계 - 소문자로 바꾸기, 대문자로 바꾸기 소문자로 바꾸기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myString이 주어집니다. 모든 알파벳을 소문자로 변환하여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1 ≤ myString의 길이 ≤ 100,000 myString은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 function solution(myString) { return myString.toLowerCase(); } // 다른 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myString) { let answer = ''; for(let i = 0; i < myString.length; i++) { const pointer = myString[i]; pointer === pointer.toUpperCase() ? answer += pointer.toL.. 2024. 3. 30.
프로그래머스 0단계 - 두 수의 합, 홀짝에 따른 다른 값 반환 두 수의 합 0 이상의 두 정수가 문자열 a, b로 주어질 때, a + b의 값을 문자열로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1 ≤ a의 길이 ≤ 100,000 1 ≤ b의 길이 ≤ 100,000 a와 b는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a와 b는 정수 0이 아니라면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function solution(a, b) { return String(BigInt(`${a}`) + BigInt(`${b}`)); } 처음에 BigInt() 대신, 습관적으로 Number()를 사용했는데, 계속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조건을 보니 정수의 길이가 무척 길다. 그래서 BigInt()로 사용하였다. Q. 적은 수를 계산할 때도, BigInt()를 사용하는 것이 Number()를.. 2024.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