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 공부/컴퓨터 구조40

보조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 최종 수정 : 2025.05.09보조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보조기억장치는 메모리의 휘발성을 보완하는 동시에, 메모리보다 큰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데이터의 안전성 혹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개의 독립적인 보조기억장치를 마치 하나의 보조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술 1) 보조기억장치의 본분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CPU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조금이라도 빠른 성능으로 메모리에게 전달하는 것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바로 RAID이다. 2) 오늘날 대중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보조기억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Hard Disk Drive)- 자기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보조기억장치- 하드 디스.. 2025. 5. 9.
메모리 최종 수정 : 2025.05.08메모리실행중인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며,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읽고, 쓰고, 실행한다.■ RAM휘발성 저장장치(volatile memory)- 전원을 끄면 저장하고 있던 데이터와 명령어가 날아간다.CPU가 실행할 대상을 저장하는 부품- CPU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곧장 가져와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보관하고 있는 보조기억장치에서 메모리로 복사해 와야 한다. 그렇기에 RAM의 용량은 컴퓨터에 큰 영향을 끼친다.* 용량이 작으면, 실행할 프로그램을 가져오는 일이 잦아져 실행 시간이 길어진다.* 용량이 크면, 많은 데이터를 가져와 미리 RAM에 저장할 수 있기에 많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는 데 유리하.. 2025. 5. 8.
CPU 최종 수정 : 2025.04.21CPU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 ■ 레지스터CPU 안에 있는 작은 임시 저장장치이며, 다양한 레지스터들이 있고, 각기 다른 이름과 역할이 있다. 프로그램을 이루는 데이터와 명령어가 프로그램의 실행 전후로 레지스터에 저장되기 때문에,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만 잘 관찰해도 비교적 낮은 수준의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WinDbg(윈도우 운영체제), hdb(리눅스, 맥OS 운영체제) 등의 도구를 이용해 관찰할 수 있다. 1. 프로그램 카운터(PC, Program Counter)메모리에서 다음으로 읽어 들일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한다. 간혹, 명령어 포인터(IP, Instruction Pointer)라고 부르는 CPU도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카운.. 2025. 4. 21.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최종 수정 : 2025.04.21컴퓨터가 이애하는 정보CPU는 기본적으로 0과 1만을 이해할 수 있다. 0과 1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정보의 단위를 비트(bit)라고 하며, 1비트는 0또는 1, 2개(2^1, 2의 1제곱)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N비트는 2^N개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비트는 너무 작은 단위이다. 그래서 프로그램의 크기를 말할 때는 비트보다는 바이트(byte), 킬로바이트(kB), 메가바이트(MB), 기가바이트(GB), 테라바이트(TB) 등을 사용한다.바이트(byte) : 여덟 비트를 묶은 단위이들은 프로그램의 관점에서 본 정보 단위이다. CPU 관점에서의 정보단위로는 워드(word)가 있다. 워드는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의미한다. 만약 CPU가.. 2025. 4. 21.
컴퓨터 구조의 큰 그림 최종 수정 : 2025.04.17컴퓨터 구조컴퓨터 구조는 컴퓨터 과학의 가장 근원적인 학문이다. 근원적이라 함은 하드웨어에서 가장 가깝다는 말과 같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Q.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는?A. 데이터와 명령어 작성한 소스 코드는 내부적으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잇는 데이터와 명령어의 형태로 변환된 뒤에 실행된다. 1. 데이터숫자, 문자,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적인 정보컴퓨터와 주고받는 정보나 컴퓨터에 저장된 정보 자체를 데이터라고 통칭명령어에 종속적인 정보이며, 명령의 대상이자, 명령어의 재료 2. 명령어데이터를 활용컴퓨터는 기본적으로 0과 1만을 이해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와 명령어 또한 0과 1로 이루어져 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는 컴퓨터의 부품은 CPU이다.■ 컴퓨터의 핵.. 2025.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