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14 [JS Q.R 스터디] 표현식과 문 최종 수정 : 2024-04-15 5장. 표현식과 문 1. 값 값(value)는 식(표현식, expression)이 평가(evaluate)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한다. 평가란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값은 변수에 할당되며, 데이터 타입을 갖는다. 또한, 메모리에 2진수, 즉 비트의 나열로 저장된다. 2. 리터럴(literal)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notation)을 말한다.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미리 약속된 기호로 표기한 코드인 것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가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runtime)에 리터럴을 평가해 값을 생성한다. 3. 표현식(expression)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sta.. 2024. 4. 15. [JS Q.R 스터디] 변수 / 스코프 / 전역 변수 / let, const, 블록레벨 스코프 최종 수정 : 2024-04-14 4장. 변수 1. 변수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변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핵심 개념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변수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원리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컴퓨터는 연산과 기억을 수행하는 부품이 나눠져 있다. 컴퓨터는 CPU를 사용해 연산하고,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memory)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memory cell)의 집합체이다. 하나의 크기는 1바이트(8비트)이며, 컴퓨터는 1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들인다. 또한 각 셀은 고유의 메모리 주소(memory address)를 갖는다. 이 메모리 주소는 메모리 공간의 위치를 나타낸다.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2진수로 처리.. 2024. 4. 15. [JS Q.R 스터디] - 프로그래밍 최종 수정 : 2024-04-14 1장 프로그래밍 1-1. 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래밍이란 컴퓨터에게 실행을 요구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것이 문제 해결 능력이다. 이를 함양하는 데 알고리즘 학습은 큰 도움이 되지만 문제 해결 능력은 더 큰 차원의 능력이다. 해결해야 할 문제(요구사항)을 이해한 후, 적절한 문제 해결 방안을 정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 프로그래밍이란 정확하고 상세하게 요구사항을 코드로 설명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Computational thinking(컴퓨팅 사고)가 필요하다. 문제 해결 능력은 직감과 직관의 영역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문제를 바라보는 우리의 사고와 경험에 영향을 받는다.우리에게는 너무나 당연해서 절차를 생각하지 않고 바로 결과를 도출하.. 2024. 4. 14. 리액트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 장점과 단점 최종 수정 : 2024-04-14 리액트는 현존하는 자바스크립트 UI 라이브러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로 인해, 취업이나 이직에서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리액트(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대표적인 자바스크립트 UI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 프로그래밍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정리해 모아 놓은 것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UI(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컴퓨터 프로그램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중간에서 서로 간에 입력과 출력을 제어해준다. 역할 SPA(Singgle Page Application)를 쉽고 빠르게 만들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 장점 1. 빠른 업데이트와 렌더링 속도 V.. 2024. 4. 14. [6주차] 동기-비동기 코드 실행순서 / Virtual DOM 1. 예시의 코드를 실행할 때, 콘솔에 출력될 값과 그 이유를 설명해 주세요. // 1번 let num = 1; // 2번 setTimeout(() => { num = 2; }, 0); // 3번 num = 3; // 4번 console.log(num); 1번) console.log(num); // 1 --> 변수 선언과 초기화가 됐기에 1이 출력된다. 2번) 비동기 함수이다. --> setTimeout 함수 안에서 console.log(num)을 작성하면 2가 출력된다. 3번) let의 재할당 --> 식별자 let은 재할당이 가능하므로, console.log(num)을 하면 3이 출력된다. 4번) 최종적으로 3번과 같다. --> 1번과 3번이 출력되고, 비동기 2번이 출력되는 형태로 착각할 수 있다. .. 2024. 4. 14.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