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64 [JS Q.R 스터디] 객체 리터럴 최종 수정 : 2024-04-2610장. 객체 리터럴1. 객체란?자바스크립트는 객체(object)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다. 원시 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은 모두 객체다. 또한,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mutable value)이다. 이와 같이, 객체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을 표현하려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라 한다. 객체는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다. 프로퍼티는 키(key)와 값(value)로 구성된다. 프로퍼티 값으로는 모든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객체이므로 값으로도 취급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퍼티 값이 함수인 경우를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서드(method)라 부른다. 즉, 객체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로.. 2024. 4. 26. 객체 - 배열 - 문자열의 상관 관계 최종 수정 : 2024-04-26객체 - 배열 - 문자열의 상관 관계객체 - 배열(유사 객체) - 문자열(유사 배열) 객체는 키와 값으로 구성된 프로퍼티들의 집합이다. 대괄호 표기법과 점 표기법을 통해, 프로퍼티에 접근할 수 있으며 프로퍼티를 조작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객체로 값으로써,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메서드라고 하며, 객체에 종속된 함수라고 이해하면 된다. 배열은 엄밀히 말하면, 객체이다. 단지, 특수한 목적으로 설계된 객체일 뿐이다. 객체와 달리, 요소에 접근할 때는 대괄호 표기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배열도 일종의 객체라서 참조값의 특징처럼 요소의 값을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객체와 다른 점은, 순서가 보장이 되고 길이를 나타내는 length .. 2024. 4. 26. 프로그래머스 0단계 입문 - 다음에 올 숫자 / A를 B로 만들기 다음에 올 숫자등차수열 혹은 등비수열 comm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마지막 원소 다음으로 올 숫자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2 -1,000 common의 원소는 모두 정수입니다.등차수열 혹은 등비수열이 아닌 경우는 없습니다.등비수열인 경우 공비는 0이 아닌 정수입니다.function solution(common) { if(common[1] / common[0] === common[2] / common[1]){ return common[1] / common[0] * common[common.length-1] } return common[1] - common[0] + common[common.length-1]}원소의 요소들을 순차적으로 나누어 등비를 구한다.. 2024. 4. 26. 프로그래머스 0단계 입문 - 문자열 밀기 / 숨어있는 숫자의 덧셈 (2) 문자열 밀기문자열 "hello"에서 각 문자를 오른쪽으로 한 칸씩 밀고 마지막 문자는 맨 앞으로 이동시키면 "ohell"이 됩니다. 이것을 문자열을 민다고 정의한다면 문자열 A와 B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A를 밀어서 B가 될 수 있다면 밀어야 하는 최소 횟수를 return하고 밀어서 B가 될 수 없으면 -1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0 A, B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function solution(A, B) { if(A === B) return 0; let answer = -1; for(let i = 1; i (b+b).indexOf(a)두 문자열 A와 B가 같으면 밀어도 동일하므로 0을 반환한다.for 문을 순회하여 만들 수 없으면, -1을 리턴한.. 2024. 4. 26. [JS Q.R 스터디] 3번째 모임 질문 QnA 최종 수정 : 2024-04-25JS Q.R 질문 QnA1. 배열의 고차함수의 특징을 함수형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설명해주세요.배열의 고차 함수(Higher-Order Function, HOF)는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거나 함수를 반환한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객체이므로 함수를 값처럼 인수로 전달할 수 있으며 반환할 수도 있다. 덕분에, 불변성(immutability)을 지향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관점을 따를 수 있다. 결국, 순수 함수를 통해 부수 효과를 최대한 억제하여 오류를 피하고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이려는 목적을 두고 있다.2. 배열의 메소드는 mutator method와 accessor method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둘 중 권장되는 방법과 이유는 무엇인가요?가급적 원본 배열을 직접 변.. 2024. 4. 25.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