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69 ㅓㄴ 유사 배열(Array-Like Object)이란? 배열과 유사(類似)한 객체 배열과 모양은 같지만, 완벽히 배열은 아닌 유사 배열에도 최소한 갖춰야 할 조건과 특징 1. 숫자 형태의 indexing이 가능하다. 2. length 프로퍼티가 있다. 3. 배열의 기본 메소드를 사용할 수 없다. 4. Array.isArray(유사배열)은 false다. 주의사항: 유사 배열은 다양하다! 유사 배열은 위의 특징들을 가진 대부분의 형태를 가리키는 포괄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정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직접 유사 배열을 만드는 게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유사 배열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위 4가지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으니깐 잘 기억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이벤트와 이벤트 핸들링, 그리.. 2023. 6. 20. ㅊㄴㄴ 레이이ㅏ웃 앞에서 z-index에 대해서 간단하게 배워 봤습니다. 사용법은 어렵지 않지만 실제로 z-index를 쓰다 보면 종종 마음대로 동작하지 않을 때가 있는데요. 이럴 때 도움이 되는 쌓임 맥락(Stacking Context)이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으니까, 일단 쌓임 맥락의 큰 개념만이라도 잡고 넘어가는 걸 목표로 해 봅시다. z-index: 9999로도 해결이 안 되는 이유 z-index 값은 단순히 서로 비교만 하는 게 아니라, 쌓임 맥락(Stacking Context) 안에서 비교하기 때문인데요. 쌓임 맥락 쌓임 맥락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z-index를 묶어서 생각하는 범위라고 할 수 있는데요. 쌓임 맥락을 쓰면 좋은 점이 하나 있는데요, 쌓임 맥락 안.. 2023. 6. 19. JS 자료형 숫자형 문자열 불린형 cf. 불 대수 - 일상적인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 어떤 넓은 범위를 만족하는 조건식을 만들 때는 if문을 활용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이고 특정한 값에 일치하는 조건을 만들 때는 switch문이 좀 더 효과적입니다. 그런데 switch문이 익숙하지 않으신 분은 이렇게 if else문으로도 대체가 가능하니깐 switch문의 구조가 너무 어려우신 분은 if else문을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조건식에서 등호를 반드시 3개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는 점인데요. switch문은 암시적 형 변환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switch문은 값들을 비교할 때 자료형을 엄격하게 구분한다는 것과 if문으로 대체할 때는 반드시 등호 3개로 일치비교를 해야한다는 것. for문 1.. 2023. 6. 19. JS 기초 용어 1. 세미콜론( ; ) 2. 코맨트 (주석) - 어떤 의도로 코드가 작성 되었는지 설명할 때 - 구현한 코드가 어떤 동작을 하는지 기록할 때 프로그래밍은 몇 가지 핵심 개념에서 시작됩니다. '자료형'을 알면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어떤 형태로 활용하는지 알 수 있고, '추상화'를 알면 코드를 간결하고 근사하게 작성할 수 있죠. '제어문'을 알면 컴퓨터를 똑똑한 비서로 활용할 수 있고요. 프로그래밍을 잘 하려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처리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번 토픽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되는 '객체'라는 특별한 자료형에 대해 배울 건데요. 알고 있으면 많은 도움이 되는 자료형 심화 내용도 준비했으니까, 궁금하신 분들은 꼭 수강해보세요! 2023. 6. 17. Font-size : px / % / em / rem px 화면에서 그려지는 가장 작은 정사각형을 말합니다. 이 사각형을 크기의 단위로도 쓰는데요. CSS에서는 크기를 설정할 때 픽셀이라는 단위를 씁니다. 위 이미지의 일부를 확대해서 보니까 작은 정사각형 단위로 되어 있죠? 이때 각 정사각형을 픽셀(Pixel)이라고 부릅니다. 픽셀의 원래 이름은 Picture Element인데요. 그림의 기본 요소라는 뜻이죠. 이걸 줄여서 Pics + El = Pixel이라고 합니다. 이 정사각형을 화면에서 크기의 단위로 쓰기도 하는데요. 코드에서 크기의 단위로 쓸 때는 px라고 쓰고 픽셀이라고 읽으면 됩니다. 만약 어떤 이미지의 너비가 100px이라고 한다면, 가로로 저 작은 정사각형 100개만큼 있다는 거죠. 2023. 6. 17. 이전 1 ··· 74 75 76 77 78 79 80 ··· 94 다음